logo
“N²SF 1.0 첫 공개”…국정원, 국가망 보안 기준 대폭 확대
IT/바이오

“N²SF 1.0 첫 공개”…국정원, 국가망 보안 기준 대폭 확대

박선호 기자
입력

국가정보원이 국가망보안체계(N²SF) 가이드라인 1.0 버전을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이번 정식 버전은 망 분리 정책의 현실성을 끌어올리고, CDS(Cross Domain Solution) 등 신기술을 선제적으로 적용하면서 국가·공공망 보안의 패러다임 전환을 예고하고 있다. 보안 통제 항목은 기존 170여개에서 260여개로 대폭 늘었고, 보안 등급별 데이터 관리, 실무자 중심의 단계별 보안 활동과 구현 예시도 함께 보강됐다. 업계는 이번 1.0 가이드라인을 공공·국가망 보안체계 재편의 ‘분기점’으로 해석하고 있다.

 

N²SF 1.0은 국가·공공기관이 운용하는 데이터와 시스템을 기밀·민감·공개 등급으로 분류한 뒤, 보안 수준을 차등화하는 다층 방어 설계가 핵심이다. 올해 1월 드래프트 순회 공개를 거친 후 현장 수요와 신기술 트렌드를 적극 반영해 완성도를 높였다. 특히 CDS(서로 다른 등급 간 안전한 데이터 전달 기술)는 기존 대비 정보 교환 경로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통제하는 ‘검증된 연계 채널’로 평가받는다. 기존 6대 영역(권한, 인증, 분리/격리 등) 체계는 유지하되, 각 항목 구체화와 구현지침 제시로 현장 적용성을 확장한 것이 특징이다.

기술적으로는 미국국가안정보장국(NSA) 등 글로벌 베스트프랙티스가 반영됐다. 정보서비스 모델 역시 기존 8가지에서 모바일·무선·CDS 기반까지 11개로 늘려, 현실적·미래지향적 망 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실제 각 보안통제 항목에는 제품명·솔루션 유형까지 구체적으로 명시, 기관마다 상황에 맞는 도입이 쉬워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시장적 관점에서는 공공 IT 활용 생태계도 눈에 띄게 확장된다. 국정원은 클라우드 보안 기준을 상향 개편, 중·하등급 공공 데이터도 민간 사업자가 보다 자유롭게 처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실제 ‘영역별 공동 클라우드’ 등 민·관 공동 활용 체제를 명확히 규정했고, 민감정보도 기관 간·민간과 안전하게 공동 활용할 수 있는 모델이 포함됐다. 이는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와 연계·확장 측면에서도 경쟁 우위를 확보하는 포석으로도 읽힌다.

 

경쟁 관점에서 최근 미국, 유럽연합(EU) 등은 사이버 보안 체계에 CDS 같은 강력한 망 분리/연계 기술 적용을 의무화하고 있다. N²SF 1.0 역시 NSA 등 글로벌 가이드라인을 일부 수용했으나, 국내 실정에 맞춘 동급 이상의 세분화된 지침 및 해설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현장 중심의 국제 경쟁력을 겨냥했다는 평이 나온다.

 

정책적으로는 민간 클라우드의 공공망 진입 장벽이 대폭 완화되는 것이 관전포인트다. 기존에는 엄격히 상·중·하 3단계로 등급화되고, 중·하등급 보안 기준이 까다롭게 적용됐으나, 새 기준이 적용되면 기업 참여와 서비스 혁신이 촉진될 것으로 보인다. AI, GPU 등 최신 기술이 결합된 특화형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해서도 별도 보안 요건을 마련, 올해 말까지 ‘생성형 AI 활용 가이드라인’과 연동해 보안체계를 고도화할 계획이다.

 

업계 한 전문가는 “전자정부·공공데이터 혁신의 전제는 보안과 실효성, 두마리 토끼를 잡는 규준”이라며 “N²SF 1.0 등장 이후 공공 IT가 민간 혁신과 더 가까워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고 진단했다.

 

산업계는 이번 N²SF 1.0이 실질적 현장에 얼마나 빠르게 뿌리내릴지 여부, 그리고 민간 클라우드 참여 확대와 보안·편리성 조화 달성이 실제 시장 안착의 관건이 될 것으로 주시하고 있다. 기술과 정책, 실무적 지침이 균형을 이루는 것이 공공 IT 생태계 성장을 위한 핵심 조건으로 떠오르고 있다.

박선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국정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