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천500억 달러 마스가 프로젝트, 사실상 한국 기업 사업”…구윤철, 한미 무역협상 타결의 핵심 지목
한미 무역협상에서 대형 정치적 결실을 둘러싸고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일촉즉발의 협상을 벌였다. 신속한 선박 건조와 시장 개방 여부, 대미 투자 상호관세 조정 등이 총체적 합의로 귀결되면서 정국의 새로운 전환점이 예상된다.
구윤철 경제부총리는 30일(현지시간) 워싱턴 DC 주미한국대사관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오늘 한미 무역협상 타결의 핵심은 1천500억 달러에 이르는 마스가(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 프로젝트”라며, “사실상 우리 조선업계 주도로 진행되는 사업”이라고 설명했다. 마스가 프로젝트로 양국이 신규 조선소 건설, 인력 양성, 공급망 재구축, 선박 건조와 유지보수까지 망라해 협력하며, 한국 기업이 미국 조선업 재건을 주도적으로 뒷받침하게 된다는 평가다.

이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도 한국 조선업의 기술력을 높이 평가했다”며, “미국 내 선박 건조가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적극 추진해 달라고 특별히 요청했다”고 구 부총리는 전했다.
농축산물 시장 개방 문제와 관련해서도 첨예한 견해 차가 표출됐다. 구 부총리는 “미국 측의 비관세 장벽 축소와 시장개방 확대 요구가 매우 강했으며, 트럼프 대통령 역시 과채류 검역 절차까지 직접 언급하며 관심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우리 협상단의 끈질긴 설명에 힘입어, 미국은 한국 농업의 민감성을 이해하고 추가 개방 없이 합의를 보았다”고 덧붙였다. 협상단은 자동차 안전 기준, 검역 절차 등 기술적 현안에 대해서도 양국 간 추가 협의로 조정할 방침임을 시사했다.
이번 큰 틀의 합의에 따라 마스가 프로젝트와 핵심광물 등 경제안보 분야 지원 명목으로 3천500억 달러 상당의 대미 투자, 미국의 대한국 상호관세 인하(25%→15%)가 패키지로 추진된다. 구 부총리는 “국익 중심 실용외교의 성과”라며, “지킬 것은 지키면서 호혜적 한미 경제협력을 업그레이드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백악관 면담 자리에는 구윤철 부총리,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협상단을 대표해 참석해 직접 트럼프 대통령에게 한국 조선업의 역량과 청사진을 설명했다. 이에 따라 한국 조선업계와 미국 경제계간 전략적 연대에 정치적 파장이 예상된다는 분석도 뒤따랐다.
정치권과 산업계에서는 한미 조선협력을 양국 산업구조 재편의 모델로 주목하고 있다. 앞으로 구체 후속 협의 과정에서 세부 사항을 조율해 나가게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