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외압·도피 의혹 추궁”…이종섭 전 국방부장관, 해병특검 소환에 국방라인 긴장
윤석열 전 대통령을 향한 ‘채상병 순직 사건’ 수사외압·은폐 의혹이 다시 정국의 변수로 떠올랐다. 이명현 순직해병 특별검사팀은 17일 오전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들일 예정이다. 특검이 수사를 시작한 지 71일 만에 국방부 최고 책임자 조사가 이뤄지며, 정국은 다시 한 번 긴장감에 휩싸였다.
이종섭 전 장관 변호인은 10일 “채해병 특검으로부터 17일 오전 10시 참고인 신분 출석 요청을 수락했다”고 밝혔다. 또 “공식 출석요구서 교부와 투명한 조사를 위한 영상 녹화조사를 희망한다”고 전했다. 특검팀은 이 전 장관을 상대로 2023년 7월 채상병 순직 당시 해병대 수사단이 보고한 초동조사 과정, ‘VIP 격노설’ 등 실체 규명에 집중할 방침이다.

이 전 장관은 채상병 사건과 관련해 윤 전 대통령에게 직접 통화로 상황을 보고했고, 이후 해병대 수사단 초동조사 결재를 번복한 것으로 드러나 ‘외압 의혹의 키맨’으로 꼽힌다. 특히 대통령실 명의의 ‘02-800-7070’ 전화가 윤 전 대통령 발신이었음이 경위를 통해 확인됐고, 이 과정에서 대통령의 지침이 개입됐다는 분석이 힘을 받고 있다.
특검팀은 또 박진희 전 국방부 군사보좌관 등 핵심 인물들로부터 장관의 구체 지시에 대한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와 함께 이 전 장관이 2023년 호주대사 임명 직후 출국금지 해제까지 이루어진 과정을 두고 ‘도피성 출국’ 논란도 확대되고 있다. 당시 국가안보실이 방산 협력 회의를 급조하면서 이 전 장관의 귀국을 위해 일정을 조정했다는 의혹이 불거진 가운데, 특검은 안보실 관계자 소환도 예고했다.
한편 국회에서는 이 전 장관의 국회 증언거부 혐의를 두고 작년 7월 ‘02-800-7070’ 전화 사용자를 밝히라는 질문에 답변을 거부해,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고발 조치가 이뤄졌다. 국회증언감정법에 따라 이 전 장관은 해당 사건으로 형사처벌 가능성까지 안게 됐다.
특검팀은 이날 신범철 전 국방부 차관을 직권남용 혐의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 조사를 진행했다. 신 전 차관에 이어 이 전 장관 조사까지 마무리되면, 수사 초점은 윤석열 전 대통령과 대통령실로 옮겨질 것이란 전망이 높다.
정치권은 이번 해병특검의 이 전 장관 소환을 놓고 치열한 설전과 정면 충돌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특검은 향후 안보실 등 청와대 라인까지 조사 대상을 확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