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한강버스 전면 중단 후 재점검” 73.1%…여야 지지층도 갈라진 민심

조보라 기자
입력

반복된 한강버스 사고 대응을 둘러싸고 정부와 서울시, 정치권의 책임 공방이 거세지는 가운데 유권자 여론은 강한 운항 중단 요구로 기울었다. 각 정당 지지층과 이념 성향별로도 중단 의견이 우세하게 나타나면서 향후 국회 논의와 중앙정부 대책 수립에 적지 않은 압박이 가해질 전망이다.

 

여론조사기관 여론조사꽃이 2025년 11월 21일부터 22일까지 실시한 전화면접조사에서 한강버스 사고 대응 방식에 대해 국민 73.1%가 운항을 중단하고 전면 재점검해야 한다고 답했다. 운항을 계속하면서 관리와 감독을 강화해야 한다는 응답은 22.4%에 그쳐 두 입장 간 격차는 50.7%포인트로 벌어졌다.

한강버스 사고 대응, 국민 73.1% “운항 중단 후 재점검” 압도적 여론(여론조사꽃)
한강버스 사고 대응, 국민 73.1% “운항 중단 후 재점검” 압도적 여론(여론조사꽃)

지역별로는 모든 권역에서 운항 중단 응답이 우세했다. 호남권이 81.6%로 가장 높았고 강원·제주 77.1%, 서울 76.3%, 경기·인천 74.2%, 부산·울산·경남 70.4%, 충청권 68.1%, 대구·경북 62.4% 순이었다. 여론조사꽃은 반복된 사고로 인한 안전 우려가 특정 지역을 넘어 전국으로 확산된 것으로 풀이했다.

 

연령별로는 50대 83.4%, 40대 82.5%에서 운항 중단 요구가 특히 두드러졌다. 이어 30대 76.6%, 60대 72.0%, 18∼29세 60.7%, 70세 이상 59.5%가 운항 중단을 선택해 전 세대에서 중단 의견이 다수를 차지했다. 남녀 모두 10명 중 7명 이상이 운항 중단을 선택해 성별 격차도 크지 않았다.

 

정당 지지층별로는 온도차가 확인됐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90.6%가 운항 중단 후 전면 재점검을 요구한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은 계속 운항하며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는 응답이 46.7%, 운항 중단 응답이 44.5%로 팽팽하게 갈렸다. 어느 한쪽 의견도 과반에 이르지 못한 셈이다. 정당을 지지하지 않는 무당층에서는 65.8%가 운항 중단을 택해 중단 여론이 비교적 선명했다.

 

이념 성향별로도 유사한 흐름이 나타났다. 진보층의 90.5%, 중도층의 76.5%, 보수층의 55.7%가 운항 중단 응답을 내놨다. 특히 보수층에서조차 절반을 넘는 55.7%가 운항 중단을 선택한 것은 안전 문제에 대한 불안이 진영 구도를 넘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같은 기간 실시된 ARS 조사에서도 전면 재점검 요구가 다수 여론으로 확인됐다. 여론조사꽃이 무선 RDD 기반 ARS 방식으로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운항 중단 후 전면 재점검 응답은 64.5%, 계속 운항하며 관리·감독 응답은 23.3%였다. 격차는 41.2%포인트로, 조사 방식이 달라졌음에도 국민 3명 중 2명가량이 중단 필요성에 공감한 셈이다.

 

ARS 조사에서도 권역별 흐름은 대체로 비슷했다. 강원·제주 74.9%, 충청권 70.7%, 부산·울산·경남 66.1%, 호남권 65.6%, 서울 62.7%, 경기·인천 62.4%, 대구·경북 59.8%가 운항 중단을 선택했다. 모든 권역에서 중단 찬성이 60% 안팎으로 나타나 인구 구성과 정치 성향이 다른 지역 간 편차가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다.

 

연령대별로도 ARS 조사에서는 40대 76.0%, 50대 75.8%에서 중단 의견이 강하게 표출됐고, 60대 62.4%, 30대 61.6%, 18∼29세 55.5%, 70세 이상 51.5% 순으로 모두 과반 이상이 전면 재점검에 힘을 실었다. 남녀 모두 60%를 넘는 비율로 운항 중단을 선택해 성별 구도에 따른 인식 차이는 제한적이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정당 지지층별 ARS 조사 결과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층 84.9%가 운항 중단을 지지했다.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는 계속 운항 응답이 47.2%로 더 높게 집계됐지만 운항 중단 의견도 33.9%로 적지 않은 수준이었다. 이념 성향별로는 진보층 83.5%, 중도층 65.6%, 보수층 45.5%에서 모두 운항 중단 의견이 상대적으로 우세했다.

 

이번 조사는 여론조사꽃이 2025년 11월 21일부터 22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8명을 대상으로 통신 3사 제공 무선가상번호를 활용한 CATI 전화면접 방식으로 실시했다. 응답률은 10.7%,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같은 기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10명을 대상으로 무선 RDD 기반 ARS 조사도 병행됐으며, 응답률은 2.1%, 표본오차는 ±3.1%포인트다.

 

여론조사꽃의 이번 결과로 한강버스 안전 대책을 둘러싼 정치권 논의는 한층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국회는 향후 관련 상임위에서 운영 중단 여부와 안전 기준 강화 방안을 두고 공방을 이어갈 전망이며, 정부와 서울시는 여론 흐름을 감안해 한강버스 운항 정책과 관리 체계를 재검토할 가능성이 커졌다.

조보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한강버스#여론조사꽃#운항중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