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롤드컵 우승 스킨”…라이엇, T1 기념 세트 공개로 e스포츠 화제
IT/바이오

“롤드컵 우승 스킨”…라이엇, T1 기념 세트 공개로 e스포츠 화제

박다해 기자
입력

e스포츠 업계가 라이엇 게임즈의 T1 2024 롤드컵 우승 기념 스킨 공개를 주목하고 있다. 라이엇 게임즈가 2023년 ‘리그 오브 레전드(LoL)’ 월드 챔피언십 정상에 오른 T1을 기념해 신규 스킨 세트를 발표, e스포츠와 게임 IT산업 내 협력과 마케팅 트렌드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업계는 이번 스킨 출시가 글로벌 e스포츠 커뮤니티와 게임 유저에 미치는 경제적·문화적 여파를 신호탄으로 본다.

 

라이엇 게임즈는 이번에 공개한 스킨의 제작 과정에서 T1 선수들의 플레이 경험과 실제 대회 활약을 반영했다. ‘케리아’ 류민석과 ‘제우스’ 최우제는 8강에서 주요 활약을 펼쳤던 파이크와 나르를 스킨 챔피언으로 선택했고, ‘오너’ 문현준과 ‘구마유시’ 이민형은 4강에서 사용한 바이와 바루스를 선정했다. 결승전에서 팀의 우승을 이끈 ‘페이커’ 이상혁은 요네를 스킨 챔피언으로 지목했으며, 결승전 MVP에게만 허락되는 프레스티지 스킨은 사일러스로 확정됐다. 이는 선수별 플레이 스타일과 2023 롤드컵 주요 장면을 게임 내에 구현하려는 시도라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특히 이번 2024 T1 스킨 세트는 영상 공개와 이용자 체험(PBE 서버 플레이) 기회를 동시에 제공, 팬과 일반 유저 모두가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정식 출시는 다음 달 11일로 계획돼 있으며, 이에 맞춰 라이엇 게임즈는 롤드컵 축하 이벤트를 LoL e스포츠 무대(LCK 등) 현장에서도 마련할 방침이다.

 

글로벌 e스포츠 시장에서는 이미 게임 내 아이템 경제 효과와 선수 브랜딩이 주요 사업 모델로 자리 잡은 가운데, 이번 T1 기념 스킨은 한국 IT·e스포츠 기업의 글로벌 브랜드 영향력을 확장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북미, 유럽 게임사도 스킨 연계 IP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어, 한국 기업과의 글로벌 융합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다.

 

게임 IT 산업 전문가는 “e스포츠 IP의 상품화가 IT플랫폼과 오프라인 이벤트, 팬커뮤니티 연계를 넘어 실질 수익 구조와 산업생태계에 직결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는 이번 T1 스킨이 실제 게임 시장과 e스포츠 팬 문화에 어떤 패러다임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하고 있다.

박다해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라이엇게임즈#t1#리그오브레전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