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런, 글로벌 IP로 K컬처 이끈다”…데브시스터즈, 국회산자중기위원장상 수상
쿠키런 IP가 글로벌 팬덤과 매출 지표로 한류 산업의 새로운 성장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데브시스터즈는 대표 게임 ‘쿠키런’ 시리즈의 혁신성과 문화 확장성을 인정받아 ‘2025 뉴시스 한류엑스포’에서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장상을 수상했다고 29일 밝혔다. 업계는 이번 수상이 게임·콘텐츠 기업의 한류 공헌 인정과 관련 산업 확장 경쟁의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본다.
이번 한류엑스포는 한국 문화의 가치를 해외에 전파한 우수 기업을 선정하는 국내 대표 시상식으로, 뉴시스 주최와 정부 및 서울시 등 기관이 후원한다. 데브시스터즈는 쿠키런이 2009년 첫 모바일 게임 ‘오븐브레이크’로 출발, 243개국 2억 명 이상 글로벌 유저를 확보하며 K컬처·콘텐츠 IP의 경쟁력을 전 세계에 입증한 점에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는 지난해 외교부와 한국국제교류재단 추산 한류 팬 수(약 2억 2500만 명)와 맞먹는 위상이다.

특히 쿠키런은 미국 시장을 주요 매출 거점으로 성장시키고, 팝 컬처 트렌드의 중심인 Z세대를 주 유저층으로 확보해 누적 매출 1조 원 이상을 기록 중이다. 최근작 ‘쿠키런: 킹덤’은 2분기 해외 매출 비중이 83%에 달하며, 글로벌 IP로서의 위상을 재확인했다.
기술적·문화적으로 쿠키런은 게임 내 다양한 한국 전통 요소와 스토리텔링을 융합했다. ‘구미호맛 쿠키’, ‘다크카카오 쿠키’ 등 한국 신화·전설에서 착안한 캐릭터와 게임 속 나전칠기, 한지공예 등 전통 무형문화 장인과의 협업이 특징이다. 이러한 전략은 서구 중심 판타지에 익숙한 해외 팬들에게 신선한 경험을 제공하며 한국 문화의 아름다움을 직간접적으로 확산시키는 효과를 거뒀다.
IP 사업 모델 측면에서도 데브시스터즈는 개발·투자·유통을 아우르는 자체 생태계 구축 및 온·오프라인 연계 확장으로 차별화를 모색 중이다. 대표 상품인 실물 카드형 TCG ‘쿠키런: 브레이버스 카드 게임’은 북미 시장에서 초도 물량 완판, 누적 1000만 장 유통 성과를 내며 콘텐츠 IP의 글로벌 사업성도 입증했다. 올해 하반기엔 장인 협업작 대규모 전시 등 신규 OSMU(원 소스 멀티 유즈) 전략도 예고됐다.
글로벌 콘텐츠 IP 경쟁에서는 미국의 디즈니·닌텐도 등 기존 강자들과의 격차가 여전하나, 한국적 소재와 문화융합을 통한 파생수익 모델 창출은 K컬처 산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 중이다. 이에 맞춰 정부도 게임·콘텐츠산업 진흥정책을 다양화하고, 문화체육관광부·산업통상자원부 등 관련 부처가 기업 지원과 함께 수출 규제 해소, K콘텐츠 인증 제도 정비에 나서고 있다.
콘텐츠산업 전문가들은 이번 쿠키런 사례가 단순히 게임 성공을 넘어 IP 기반 비즈니스, 글로벌 문화 확산, 전통예술과의 크로스오버라는 ‘넥스트 K’ 전략의 실증사례가 될 수 있다며 주목하고 있다. 산업계는 쿠키런 IP의 현지화 및 온·오프라인 확장이 실제 시장에서 장기적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할지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