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소비·셀고리즘 뜬다”…KT, Z세대 트렌드로 신사업 시동
폴더소비부터 셀고리즘까지, Z세대가 직접 선정한 2025년 트렌드 키워드가 산업 내 새로운 사업 전략의 신호탄이 되고 있다. KT는 Z세대가 주도한 미래형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키워드를 공개하며, 실제 사업과 마케팅 전략에 반영한다는 로드맵을 마련했다. 업계는 이번 발표를 ‘밀레니얼·Z세대 주도 소비시장 경쟁의 핵심 분기점’으로 주목하는 분위기다.
KT는 대학생 마케팅 서포터즈인 Y퓨처리스트 100명과 트렌드 전문 연구기관 대학내일20대연구소가 협업, 관계·소통, 소비, 자기계발, 콘텐츠, 취미·여가 등 5개 영역의 라이프스타일에서 폴더소비, N놀러, 듣폴트, Ai:tionship, 셀고리즘 등 다섯가지 키워드를 도출했다. 이번 키워드는 '2025 Y트렌드 컨퍼런스'를 통해 Z세대 소비행태의 최신 변화를 압축적으로 제시했다.

폴더소비는 넘쳐나는 정보에서 FOMO(놓칠까 두려운 심리)를 해소하기 위해 콘텐츠나 상품을 먼저 저장해두고, 이후 실제 소비 단계에서 이를 활용하는 ‘저장형 소비’ 행태다. 이는 기존의 즉시구매 트렌드와 달리 소비 결정을 보류하고, 정보 탐색 후 최적의 소비를 실현하는 Z세대만의 전략으로 분석된다. 셀고리즘은 개인이 알고리즘을 수동적으로 따르기보다는 능동적으로 길들이고 조정해 본인을 드러내는 ‘정체성 기반 소비’로 진화하고 있다. 단순 추천을 넘어서 자신의 취향과 정체성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기술 활용 방식이라 할 수 있다.
N놀러는 소소한 여가 활동의 가치를 중시하는 ‘취미 다변화’ 흐름을 보여주고, 듣폴트는 음악·팟캐스트 같은 청취형 콘텐츠를 일상의 주요 소비 형태로 삼는 것을 뜻한다. Ai:tionship은 인공지능을 더 이상 도구가 아닌 감정의 교류·연대 대상으로 인식하며, AI와의 관계 형성을 통한 삶의 확장까지 나아간다는 점에서 주목받는다.
KT는 이 같은 트렌드 키워드를 최근 3년간의 사례와 함께 정리한 자료집을 발간, 주요 오프라인서점 및 전자책 형태로 무료 배포할 예정이다. Y퓨처리스트와 대학내일20대연구소는 해당 키워드가 실제 KT의 서비스·마케팅 기획에 직접적으로 활용되고 있다고 밝혔다. 예를 들어, 2023년에 선정된 ‘친친폼’과 ‘긍생’ 키워드는 각각 신규 요금제와 펀딩 서비스, 생일카페 팝업 프로젝트 등 실제 사업모델에 적용됐다. 이는 Z세대 트렌드가 이통사 등 IT 플랫폼 기업의 신사업 개발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글로벌 기업과의 비교에서는 미국, 일본 등 주요 통신사 역시 MZ세대 소비자 중심 자체 연구조직과 테스트베드를 강화하는 추세다. 국내 기업 중 KT는 Z세대를 실험군으로 삼는 ‘트렌드 현장화’ 전략이 두드러지며, 대학생 협업 플랫폼을 통한 실증형 마케팅이 특징으로 꼽힌다.
전문가들은 디지털 기술이 개인화와 취향 기반 알고리즘 제공에 가속도를 낼수록, 오히려 회피·저장·조정 등 인간 주도형 ‘능동 소비문화’가 동반 성장할 것으로 본다. 데이터 보호 및 소비자 프라이버시 등 산업 내 윤리적 기준 강화 필요성도 부각된다.
KT 마케팅혁신본부 측은 “대학생 중심 트렌드 발굴로 고객 생활 깊숙이 들어가는 맞춤형 전략을 꾸준히 확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산업계는 이번 트렌드가 상품 개발을 넘어 IT 서비스, 플랫폼 산업 전반의 구조적 경쟁으로 이어질지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