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사 폐쇄 의혹, 사실 아니다”…오세훈·홍준표, 계엄 동조설에 강력 반박
12·3 비상계엄을 둘러싸고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지방자치단체장이 정면 충돌했다. 계엄 선포 직후 일부 지자체 청사가 폐쇄됐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여야간 책임 공방과 진실 공방이 가열되고 있다. 민주당 측의 문제 제기에 이어 서울시는 강력한 반론을 펼치며 양측이 정쟁 국면에 진입했다.
김병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5일 당 3대 특검 종합대응특위 전체회의에서 국민의힘 소속인 서울시, 강원도, 인천시, 대구시, 경상북도 등이 계엄 당일 청사를 폐쇄하고 비상대책회의를 진행한 정황이 있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윤석열은 비상계엄을 선포하면서 행정안전부를 통해 전국 지자체에 청사 폐쇄를 명령했다”며 “이들 지자체장 또한 계엄에 동조한 것인지 수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발언의 정치적 파장도 커지고 있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주요 보수 진영 단체장들의 책임론이 대두되는 상황에서, 민주당이 특검을 통해 이 사안을 부각시키려는 것이 아니냐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실명으로 거론된 오세훈 서울시장과 홍준표 전 대구시장은 계엄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으며, 정치적 거리두기를 시도했다. 오 시장은 12월 4일 0시 25분 입장문을 통해 “계엄에 반대한다. 계엄은 철회돼야 한다”며 “시장으로서 시민의 일상을 지키겠다”고 밝혔다. 또한, 곧바로 시청 집무실에서 긴급 간부회의를 열며 적극 대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홍 전 시장도 “충정은 이해하나 경솔한 한밤중의 해프닝이었다. 유감이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서울시는 해당 의혹에 즉각 반발했다. 김병민 서울시 정무부시장은 공식 입장문을 내 “서울시는 청사를 폐쇄한 적 없다”며 “크게는 야간 출입 제한, 출입증 패용에 제한된 출입 등 평소 내규에 따른 통제만 있었을 뿐”이라고 밝혔다. 이어 민주당의 주장을 “정확한 사실 확인도 없이 가짜뉴스를 유포하고 있다”고 비판하며, “특검 수사를 이용해 정치적 이득을 취하려 한다”고 지적했다.
민주당 측은 군이 계엄 당시 내린 ‘경계 태세 2급’ 발령도 문제 삼았다. 김병주 의원은 “북한군 남침 때만 발령되는 경계 태세 2급이 동일 시점에 내려진 것은 군사적 반역 징후”라며 거듭 수사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와 함께, 이날 회의에서는 수사 기간 연장·인력 확충 등을 골자로 한 특검법 개정 요구가 이어졌다. 순직해병 태스크포스 간사 전용기 의원은 “수사 기간 연장을 통해 한 점 의혹 없이 진실 규명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고, 이연희 의원 역시 내란특검 수사의 사각지대 해소 필요성을 부각하며 전·현직 고위직 추가 수사를 촉구했다.
정치권은 향후 특검 수사 연장 여부와 계엄 동조 의혹을 두고 대립이 심화되는 모습이다. 이날 국회는 특검 수사 연장, 지자체장 조사 필요성 등 핵심 사안을 두고 치열한 공방을 벌였으며, 여야의 진실 공방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