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과의 실질적 대화 추진”…강경화, 한미 공조 강화 방안 제시
한반도 대화 해법을 둘러싼 논쟁이 이어지는 가운데, 강경화 주미대사가 한미 간 협력 강화 및 대북정책의 실질적 진전을 강조했다. 강 대사는 1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대표부에서 열린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북한과의 대화 통해 문제 해결을 추진하는 동시에, 북측의 진지한 호응을 유도하기 위한 노력이 병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강경화 대사는 미리 배포된 업무보고와 현장 발언을 통해 “한반도에서의 긴장 완화와 평화·안정 구축을 위한 대북정책 추진에 있어 한미 간 협의 및 공조를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미국 국가안보회의(NSC), 국무부 등 주요 행정부처와 수시로 소통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그는 “한미 양국이 연내 글로벌 평화와 번영을 위해 더욱 긴밀히 협력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며 “북한, 우크라이나, 중동 등 글로벌 안보 현안과 더불어 안보와 경제의 융합이라는 시대적 도전에 직면해 있다. 우리 안보와 국익을 위해 한미 간 긴밀한 소통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통상 이슈 관련해선 “미측이 제기하는 주요 경제·통상 사안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미국의 관세정책을 모니터링하겠다”고 밝혔다.
강경화 대사는 지난 8월 25일 워싱턴DC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진행한 한미 정상회담에 특별수행원으로 배석한 사실도 언급했다. 그는 “정상 간 신뢰와 유대관계 구축, 한미 최고위급에서 강력한 협력 의지 확인 등 정상회담의 의미를 높이 평가한다”고 평가했다.
고위급 외교 일정과 관련해선 “10월 동아시아정상회의(EAS), 10월 말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11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등에서 다양한 레벨의 교류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방한 계획을 직접 밝힌 경주 APEC 정상회의와 관련해선 “차질 없는 준비로 외교, 안보, 경제 및 통상 분야에서 추가 성과 도출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반이민 정책 대응에 대해서도 강 대사는 “조지아주 한인 구금사태 등 트럼프 행정부의 강경한 이민 정책을 감안해 양국 비자 워킹그룹 참여 및 실무부처 간 연락 체계 강화를 지속하겠다”며 동포 보호 대책도 설명했다.
정치권에서는 강경화 대사의 이 같은 방침을 두고 한미 협력과 대북정책 실질성 사이 균형점 찾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과, 미측과의 긴밀한 조율 통한 한반도 안정 기대감이 동시에 나왔다.
이와 같이 강경화 주미대사는 한미 공조와 북측 대화 재개, 통상·안보 이슈 등 현안을 망라한 전략을 강조했다. 외교·안보 환경 변화에 따라 정국의 향방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연내 이어질 주요 정상외교 일정 속에 실효적 성과 도출을 위한 노력을 지속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