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신정동 부녀자 연쇄살해, 범인은 이미 사망”…관리인 특정에도 공소권 없음

이예림 기자
입력

2005년 서울 양천구 신정동 일대에서 발생한 이른바 ‘신정동 부녀자 연쇄살인 사건’의 범인이 사건 발생 20년 만에 특정됐다. 그러나 피의자가 이미 사망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장기 미제 사건은 형식상 ‘공소권 없음’으로 종결 수순을 밟게 됐다.

 

서울경찰청 광역수사단 형사기동대는 21일 2005년 발생한 두 건의 ‘신정동 부녀자 살인 사건’ 피의자를 당시 빌라 관리인이던 A씨로 특정했다고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A씨는 2015년 7월 암으로 사망했다.

기사와 무관한 이미지
기사와 무관한 이미지

경찰 발표에 따르면 A씨는 2005년 6월 6일 서울 양천구 신정동의 한 빌라 내 병원을 찾았다가 문이 닫혀 귀가하던 20대 여성 B씨를 지하 1층 창고로 끌고 간 혐의를 받는다. 그는 이곳에서 금품을 빼앗고 성폭행한 뒤 양손으로 목을 졸라 살해한 것으로 조사됐다.

 

A씨는 같은 해 11월 20일에도 같은 빌딩을 방문한 40대 여성 C씨를 비슷한 방식으로 납치해 지하 창고로 끌고 간 뒤 폭행과 성폭행을 가하고, 끈으로 목을 졸라 숨지게 한 혐의도 받고 있다.

 

경찰에 따르면 A씨는 범행 후 B씨의 시신에 쌀 포대 2개를 씌우고 노끈으로 묶어 인근 초등학교 우측 노상 주차장에 유기한 것으로 파악됐다. C씨의 시신 역시 비닐과 돗자리에 감싼 뒤 끈으로 결박해 주택가 노상 주차장에 버린 혐의를 받고 있다.

 

수사 과정에서 드러난 또 다른 범행 전력도 확인됐다. 경찰 조사 결과 A씨는 두 번째 살인 사건이 벌어진 지 약 3개월 뒤인 2006년 2월, 같은 장소에서 유사 수법으로 성범죄를 시도하다 현행범으로 체포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는 이 사건으로 2009년까지 복역한 것으로 전해졌다.

 

범행 당시 A씨는 60대 초반이었으며, 과거 군 복무 시절 군 시설 수사부서에서 근무한 경력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또 성범죄를 포함해 다수의 전과가 있었던 사실도 함께 확인됐다.

 

초동 수사는 당시 서울 양천경찰서가 맡았다. 양천서는 사건 직후 38명 규모의 전담수사팀을 꾸려 주변 인물 탐문, 전과자 조사, 유전자 분석 등 수사를 이어갔으나 피의자를 특정하지 못했다. 수사는 약 8년 동안 이어졌고, 사건은 2013년 6월 장기 미제 사건으로 관리 전환됐다.

 

미제로 남았던 사건은 2016년 서울경찰청 미제사건 전담팀이 다시 수사를 이어받으면서 재검토됐다. 이후 자료 재분석과 추가 조사 끝에 A씨를 유력 용의자로 특정했고, 이번에 공식 발표에 이른 것으로 전해졌다.

 

신정동 연쇄살인 사건은 SBS 시사 프로그램 ‘그것이 알고 싶다’를 통해 ‘엽기토끼 사건’이라는 명칭으로 대중에 알려지기도 했다. 당시 방송에서는 신정동 일대에서 발생한 납치 미수 사건과 연쇄살인 사건을 함께 조명하면서 의문이 제기된 바 있다.

 

그러나 경찰은 2026년 5월 기준 추가 검토 결과, 방송에서 다뤄진 ‘엽기토끼’ 납치 미수 사건과 이번에 특정된 A씨의 연쇄살인 사건은 별개라고 선을 그었다. 경찰 관계자는 A씨가 문제의 납치 미수 시점에는 교도소에 수감돼 있었다며 물리적으로 범행이 불가능한 상황이었다고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피의자가 사망한 상태여서 재판을 통한 사실 규명과 법적 처벌은 더 이상 진행되지 않는다. 경찰은 “A씨가 2건의 신정동 부녀자 살인 사건의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보고 수사를 마무리할 예정”이라며 “피의자 사망으로 공소권이 없어 불송치 종결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수사가 종결되더라도 피해자와 유족에게 남은 상처와 공포는 쉽게 회복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편 경찰은 그간의 수사 경과를 정리해 유족에게 설명하고, 미제 사건 수사 과정에서 드러난 한계와 보완점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경찰은 남은 자료 검토와 기록 정리를 거쳐 사건을 공식 종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예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신정동부녀자연쇄살인#서울경찰청광역수사단#엽기토끼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