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디지털세 부과 땐 추가 관세”…트럼프, 유럽 겨냥 강경 경고에 긴장 고조
국제

“디지털세 부과 땐 추가 관세”…트럼프, 유럽 겨냥 강경 경고에 긴장 고조

강민혁 기자
입력

현지시각 28일, 미국(USA) 워싱턴 백악관에서 메타의 마크 저커버그 최고경영자(CEO)가 트럼프 대통령과 비공개 면담을 가진 사실이 알려지면서, 유럽 주요국의 디지털세 도입 움직임을 둘러싼 미 행정부의 강경 대응이 국제 사회에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디지털세 등 미국 IT 대기업을 겨냥한 조치가 지속된다면, 해당국 수출품에 대해 추가 관세와 기술·반도체 수출 제한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혔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저커버그 CEO는 이날 면담에서 최근 유럽 등지의 디지털 서비스세 도입이 미 IT기업에 주는 부담을 설명하고, 트럼프 대통령과 규제 대응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25일 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차별적 디지털세와 규제가 시행되는 국가에 단호히 대응할 것”이라며 “조치 시정 없을 시 추가 관세, 기술수출 규제 등 강경책을 시행하겠다”고 거듭 강조했다.

트럼프, 디지털세 부과국에 추가 관세 경고…저커버그 백악관 면담 이후
트럼프, 디지털세 부과국에 추가 관세 경고…저커버그 백악관 면담 이후

디지털세는 글로벌 빅테크가 각국에서 거둔 매출에 과세를 적용하는 제도로, 최근 프랑스, 이탈리아, 영국 등 유럽연합 내 국가들이 도입 및 논의를 구체화하고 있다. 미국은 이 같은 움직임이 자국 IT산업에 불리하게 작용한다는 입장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기술기업들과의 긴밀한 협의를 바탕으로 해당국 대미 수출품이 직접 타겟이 될 수 있음을 경고했다.

 

‘메타’는 최근 500억 달러(약 66조원) 규모의 루이지애나주 AI 데이터 센터 신설 계획도 백악관에 공식 건의했다. 저커버그는 회사의 경영진과 이사회 개편, 트럼프 측 우호적 노선 전환, 마러라고 방문·취임 후원 등으로 정치적 관계를 강화해 왔다. 인공지능, 유럽 규제 등 글로벌 이슈가 두 인사의 매개가 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 같은 미국의 압박에 대해 유럽 주요국 정부는 “글로벌 조세 형평성 제고 차원의 논의”라는 기존 입장을 내세우고 있으나, 보복 관세·기술 제한 움직임에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트럼프 행정부가 다시 빅테크 중심 보호무역을 가속할 조짐”이라고 평가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실제 관세·수출 제한 조치가 현실화될 경우, 글로벌 IT 기업 주가와 수익, 반도체·AI 공급망이 대거 재편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트럼프-저커버그의 연대와 미국의 압박이 유럽 연합(EU) 중심의 조세정책 재협상을 유도할지, 무역 분쟁으로 번질지 국제 사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향후 유럽 주요국 디지털세 입법, 미 무역·기술규제 강화의 실질적 이행 여부가 IT 업계와 글로벌 증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강민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트럼프#저커버그#디지털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