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최선이자 최종안 요구”…구윤철 경제부총리, 미 상무장관과 통상협상 분주
정치

“최선이자 최종안 요구”…구윤철 경제부총리, 미 상무장관과 통상협상 분주

한유빈 기자
입력

한미 통상 협상이 막판까지 난항을 겪으며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정면으로 맞붙었다. 미국이 한국에 통보한 25% 상호관세 부과 시한(8월 1일)을 하루 앞두고, 양측의 고위급 협상이 이틀 연속 이어지면서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30일(현지시간) 구윤철 부총리는 워싱턴DC 상무부 청사에서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과 만나 한미 통상 현안과 관세 문제를 논의했다. 산업통상자원부 김정관 장관, 통상교섭본부장 여한구 등 한국 산업·통상 라인이 총출동했으며, 이날 만남은 전날에 이은 두 번째 공식 협상이다.

구윤철 부총리는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협상을 다 하고 나서 말씀드리겠다”며 말을 아꼈지만, 관세 시한 전 타결 가능성을 묻는 질문엔 “최선을 다하겠다”고 답했다. 현장 분위기는 미국이 ‘최선이자 최종안’을 한국에 강력히 요구하며 협상장을 압박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층 팽팽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앞서 러트닉 장관이 스코틀랜드에서 김정관 장관을 만나 “트럼프 대통령에게 협상 최종안을 제안하려면 모든 것을 가져와야 한다”고 언급했다고 보도했다. 당초 한국 측의 협상안에 미국 측이 만족하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에 따라 구윤철 부총리와 러트닉 장관 간의 연이은 만남이 막판 추가 양보 또는 새로운 제안의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양국은 31일 예정된 한미 장관급 ‘2+2 통상 협의’에서 협상 타결이 임박할 경우,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 대표 등 양국 통상 담당자들이 동석해 최종 조율에 나선다. 일각에서는 곧바로 트럼프 대통령이 양국 합의안을 승인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됐다.

 

정치권과 산업계는 한미 통상협상이 막판까지 치열하게 전개되는 모습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향후 협상 결과에 따라 한국의 교역 환경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 논의에도 큰 파장이 예상된다. 정부는 관세 부과 유예 시한인 8월 1일을 앞두고 끝까지 협상 타결을 모색한다는 입장이다.

한유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구윤철#러트닉#트럼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