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도한 해석 불필요”…김민석 총리, 트럼프 발언 두고 협상팀 신뢰 당부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강경 메시지에 정치권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25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한국에서 숙청 또는 혁명이 일어나는 것 같다’는 언급과 관련해 정부 협상팀에 대한 신뢰를 거듭 강조했다.
김민석 총리는 이 자리에서 개혁신당 천하람 의원의 질의에 "트럼프 대통령의 굉장히 다양한 협상 경험, 이런 것들을 저희들이 충분히 알고 있다"며 "협상에 나선 대통령과 정부 측 협상팀을 믿고 응원하는 것이 최상이 아니겠는가 (생각한다)"고 밝혔다. 특히 “그 이상의 과도한 해석은 지금으로서는 사실은 그다지 필요가 없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고 강조하며,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는 협상 전술의 일환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 또한 트럼프 대통령의 메시지를 미국 측의 ‘최대 압박작전’으로 평가했다. 정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측이 호락호락하지 않다. 쉽게 물러나지 않고 있다’라는 보고를 받았을 것”이라며 협상장 밖 강경 발언이 실제 미국의 협상 전략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아마 이 대통령께서 잘 대처하실 것”이라며 대통령과 협상팀에 신뢰를 보내 줄 것을 국민에게 당부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미정상회담 직전인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 트루스소셜에 “한국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인가. 숙청 또는 혁명같이 보인다”며 “우리는 그것을 수용할 수 없고, 거기서 사업할 수 없다”고 썼다. 이 같은 메시지는 정상회담을 앞두고 한국 정부에 대한 미국 측의 압박 강도를 높이려는 의도로 해석됐다.
여야의 반응 역시 엇갈렸다. 여당 지도부는 “정부 협상팀의 능력을 신뢰한다”고 밝혔다. 반면 야당 일부에서는 “동맹 관계에 부담을 주는 발언”이라며 신중한 대응을 촉구했다. 외교 현안에서 한미관계의 전략 환경 변화에 대한 시민과 전문가들의 의견도 분분하다.
한편 양국의 정상회담 결과에 따라 추가 협상 내용과 한미동맹의 향배가 좌우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정상회담 이후 다시 한 번 입장을 정리해 공식 입장을 발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