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급증 시 자동 비활성화 추진”…양문석, 네이버 뉴스 여론조작 대책 지적
정치권이 포털 뉴스 댓글 여론조작 문제를 두고 네이버와 맞붙었다. 더불어민주당 양문석 의원은 10월 13일 국회에서 네이버의 댓글 조작 방지 대책을 집중 점검하며, 서비스 개선의 실효성을 따져 물었다. 네이버는 최근 ‘좌표 찍기’ 등 인위적 여론몰이 시도를 억제하기 위해 댓글 서비스 구조를 대폭 개선 중이라고 밝혔다.
양문석 의원이 네이버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네이버는 ‘게시중단 요청 서비스’를 통해 정보통신망법상 명예훼손 등 불법 게시물을 월평균 1만5천 건에서 2만 건 가량 임시조치하고 있다. 그러나 좌표 찍기, 여론몰이 등 인위적 조작에 대응하기 위한 실질적 조치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이와 관련해 네이버는 지난 4월부터 ‘이용자 반응 급증 감지 시스템’을 가동해, 대선을 앞둔 최근까지 약 60건의 이상 징후를 탐지했다. 공감과 비공감이 비정상적으로 늘어나는 댓글에 즉각 대응하겠다는 취지다. 네이버는 이에 따라 정치분야 기사 댓글창을 자동 비활성화하고, 전체 댓글이나 언론사별 댓글로 별도 이동해야만 댓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또한 지난 9월부터는 댓글 목록 노출방식도 일부 변경했다. 댓글 공감·비공감 트래픽이 일정 기준을 넘으면 공감순이 아닌 최신순 정렬만 허용하는 정책이 시범 적용됐다. 나아가 네이버는 향후 ‘악성 댓글 지수’라는 별도 지표를 신설해, 임계치 초과 시 댓글창 자동 비활성화 또는 노출 제한 정책도 도입할 계획이다.
양문석 의원은 “국민 여론이 특정 세력의 좌표 찍기에 휘둘리는 현실을 방관해선 안 된다”며 “네이버는 대표 포털의 책임에 따라 민주주의 수호에 걸맞은 의지를 정책으로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번 국정감사에서 네이버 뉴스총괄 김수향 전무를 증인으로 신청했으나, 네이버의 개선 약속을 존중해 증인 신청을 철회했다.
정치권과 포털의 뉴스 댓글 제도 개선 논의가 이어지면서, 향후 실질적 여론조작 방지 효과와 추가적인 제도 보완 논의가 계속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