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산불피해 복원”…유한양행, 국제 산림 재생 협약 체결
몽골 사막화가 동북아시아 기후위기의 주요 촉매로 떠오르는 가운데, 유한양행이 아시아산림협력기구(AFoCO)와 몽골 정부, NGO 등과 손잡고 생태 복구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다자간 협력에 나서 산업계 이목이 쏠리고 있다. 이번 업무협약은 양국 수교 35주년을 맞이해 추진됐다. 산불로 황폐화된 울란바토르 북서쪽 바트숨베르 지역에 생태계 복원 기술을 도입하고, 지역 기반 산림 관리 모델까지 구축한다는 점에서 장기적 파급력이 예상된다. 업계에서는 기후 변화 대응과 환경복원 분야의 민관 협력 경쟁이 본격화되는 분수령으로 평가하고 있다.
유한양행, 몽골 정부, 아시아산림협력기구 그리고 현지 NGO ‘빌리언 트리스(Billion Trees)’가 함께한 이번 협약은 과학기반 산림 복원과 지역사회 참여 확대라는 이중 목표를 담고 있다. 산림피해지에 대한 데이터 기반 진단과 맞춤형 복원 방식을 도입하며, 단기 성과에 머무르지 않고 지속가능한 산림 보전 체계를 구축한다는 전략이다. 특히 현지 주민이 직접 참여해 장기적 산림 관리 역량을 키움으로써, 전통 인공조림(boreal reforestation) 한계를 극복하려는 점이 눈에 띈다. 산불 피해 지역이 수분 부족, 토양 황폐화 등 다층적 생태 문제를 안고 있는 상황에서, 맞춤형 살수·비료·종자 시스템 등 IT·바이오 융합 기술이 시범 적용될 예정이다.

최근 몽골을 포함한 중앙아시아, 중국 내륙지역에서 사막화 및 산불에 따른 2차 환경재해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산림 복원을 통한 탄소흡수 증진, 농경지 회복, 지역 일자리 창출 등 실제적 파급 효과도 동반될 것으로 전망된다.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체계를 강조하는 국제 사회 흐름과도 맞물려, 민간기업의 과학적 참여가 인정받는 추세다. 북미·유럽에서는 나사(NASA), 세계은행(World Bank) 등이 위성영상 및 바이오 센서 기반 생태 복원 사업을 선도 중이며, 이번 유한양행 컨소시엄은 동북아권에서의 대표 사례에 해당한다.
향후 현지 론칭 세리모니 및 식목·복원 활동에는 몽골 정부와 AFoCO, 지역주민까지 직접 참여해, 장기 파트너십이 구축될 전망이다. 복원 과정에서의 데이터 공유, 모니터링 체계 확립 등도 병행된다. 조욱제 유한양행 사장, 오윤사나 몽골 산림청장, AFoCO 박종호 사무총장 등 주요 인사가 협약에 참석한 점에서 기업·정부·국제기구의 협조 모델로 평가된다.
산림 복원 분야는 각국의 기후변화법, 국제 규약 준수, 이산화탄소 감축 목표 설정 등 복합적 규제가 적용되는 영역이다. ESG 연계 대외 협력, 복원 인증제 도입 등이 확대되는 추세에서도, 데이터 투명성·생태복원 효과 검증 등 상용화 진입장벽이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AFoCO 산림협력 관계자는 “몽골 산불피해 복원 사업은 동북아 지역 생태계 복원과 글로벌 탄소저감 구조 전환의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산업계는 이번 기술 및 협력 모델이 실제로 효과적인 생태복원과 탄소중립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