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BS AI 학습대가 새 물결”…방문신, 강렬한 혁신 선언→방송산업 지각변동 예고
엔터

“SBS AI 학습대가 새 물결”…방문신, 강렬한 혁신 선언→방송산업 지각변동 예고

허준호 기자
입력

시대의 숨결을 담아내는 SBS 뉴스 한 편 한 편이 이젠 미래 인공지능의 밑거름이 되고 있다. 뉴스콘텐츠를 둘러싼 변화의 물결 한가운데서 SBS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AI 학습용 뉴스 데이터 가치에 대한 기준을 공식화하며, 그 자락을 힘차게 펼쳤다. 방문신 사장의 담대한 비전과 함께 뉴스 저작권 보호의 원칙, 그리고 산업생태계 혁신의 항해가 동시에 시작됐다.

 

이번 기준안은 최신 뉴스의 가치부터 데이터양, 이용 기업의 규모와 수익에 이르기까지 다각도로 현실을 반영했다. 무엇보다 공익 목적 연구나 중소·벤처기업에 한해 합리적 가격을 적용하는 등, 뉴스 저작물의 사회적 확장성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했다는 점이 눈에 띈다. 이와 더불어 정액제, 종량제, 수익배분제 등 다양한 공급 방식을 설계해 데이터 활용의 문턱을 한층 낮췄다.

“SBS, AI 학습대가 기준 첫 제시”…뉴스콘텐츠 혁신→산업 생태계 변화 예고 / SBS
“SBS, AI 학습대가 기준 첫 제시”…뉴스콘텐츠 혁신→산업 생태계 변화 예고 / SBS

SBS는 AI미디어추진팀을 신설하며 조직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제작과 기술 담당 부서가 손을 맞잡은 합동TF, 그리고 AI위원회 구성까지 이어지면서, AI 시대 방송콘텐츠의 신뢰성을 지키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겠다는 각오가 엿보인다. 이는 단순한 기술적 변화가 아닌, 방송뉴스가 자신만의 지식재산을 지키며 AI혁신의 본류로 거듭나고자 하는 움직임이다.

 

방송협회는 방송뉴스가 오랜 세월 공들여 축적한 지식재산임을 강조하며, AI가 급부상하는 지금 역시 저작권과 상생의 근간을 놓치지 않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따라 SBS가 던진 혁신의 화두는, 미디어 산업 전반에 균형과 상생의 새로운 질서를 요구할 씨앗으로 남았다.

 

뉴스 데이터가 품은 무거운 책임과 넓은 가능성, 그리고 인공지능 시대를 여는 공익과 기술 진보의 균형감까지. SBS가 걷기 시작한 이 길은 한국 미디어 콘텐츠 산업에 도전의 신호탄이자, 모두를 위한 내일로 이어지는 초입이 될 전망이다.

허준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sbs#ai학습대가#ai미디어추진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