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TSMC, 2나노 생산라인서 중국제 장비 전면 배제”…미국 규제 강화에 공급망 재편 신호
국제

“TSMC, 2나노 생산라인서 중국제 장비 전면 배제”…미국 규제 강화에 공급망 재편 신호

허준호 기자
입력

현지 시각 25일, 대만 신주에 위치한 반도체 기업 TSMC가 연내 양산 예정인 2나노미터 생산라인에 중국산 제조장치 사용을 전면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미국(USA) 정부의 대중 반도체 장비 규제 강화 가능성이 예상되는 가운데,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구조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해당 사안은 미·중 기술 패권 경쟁, 공급망 안정화 논의가 고조되는 상황에서 이뤄진 선제적 조치다.

 

TSMC는 이날 닛케이신문 보도를 통해 2나노 공정의 대만 신주 생산설비에서 중국산 장비를 배제할 계획을 공식화했다. 가오슝, 미국 애리조나주 신공장 등 향후 2나노 제품 생산시설도 같은 방침을 적용할 전망이다. 업계에 따르면, 이는 이미 미국 내 신설 반도체 공장에서 중국산 장비를 제한하는 ‘반도체법’ 법안이 발의된 점을 감안한 움직임이다. TSMC는 지난해까지 AMEC(중웨이반도체), 맷슨 테크놀로지 등 중국 업체들의 장비를 일부 활용했으나, 이번에는 규제 리스크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TSMC’, 2나노 생산라인에 中장비 배제…미국 규제 영향
‘TSMC’, 2나노 생산라인에 中장비 배제…미국 규제 영향

과거 TSMC는 이미 가동 중인 3나노 라인에서도 중국제 장비 배제를 검토했지만, 실제 적용은 미뤄진 바 있다. 하지만 미국 정부의 보조금 지원을 받고 첨단 생산시설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장비 국적 이슈가 점차 중요해진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 정부의 규제 강도에 따라 글로벌 장비·소재 밸류체인 자체가 변화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 같은 결정에 대해 미 정부와 반도체 업계는 ‘공급망 내 중국산 영향력 최소화 정책의 일환’으로 해석하고 있다. 또한 TSMC 측은 장비뿐만 아니라 중국산 재료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추가 조사까지 착수했다. 이로써 대만(Taiwan)-미국 생산거점의 리스크 분산과 첨단 기술 보호에 무게가 실릴 전망이다.  

 

투자자와 시장은 미국(USA)의 추가 규제나 보조금 정책 변화, 그리고 중국 장비 업체의 글로벌 시장 입지 약화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TSMC의 이번 결정이 미-중 반도체 디커플링의 가속 신호”라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이 사안이 글로벌 공급망 다변화와 첨단 기술 블록화 경쟁을 심화시킬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앞으로도 미·중 첨단 반도체 생태계를 둘러싼 긴장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TSMC의 행보가 관련국 산업 정책의 가늠자가 될지 주목된다.

허준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tsmc#미국#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