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보고함 폴란드 무상양도 추진…대통령실 "방산 수출·협력에 효과적 활용"
방산 수출 확대를 둘러싼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대통령실과 정부가 퇴역 군함 카드를 꺼냈다. 폴란드의 차세대 잠수함 사업을 놓고 국제 수주전이 격화하는 상황에서, 우리 해군의 첫 잠수함 장보고함을 무상으로 제공하는 방안이 추진되면서 파장이 커지고 있다.
26일 복수의 군 소식통에 따르면 정부는 올해 말 퇴역 예정인 해군 1천200t급 잠수함 장보고함을 폴란드에 무상 양도하기로 내부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폴란드가 추진 중인 차세대 잠수함 도입 사업 오르카 프로젝트에 참여하려는 국내 방산업체를 지원하기 위한 조치라는 설명이다.

장보고함은 우리 해군이 운용한 첫 잠수함으로, 1988년 독일 HDW조선소에서 건조를 시작해 1991년 진수됐다. 해군은 1992년 이 잠수함을 인수해 1994년 실전 배치했으며, 이후 30년 넘게 운용해 왔다. 연말 퇴역을 앞두고 있던 만큼, 군 전력 운용 측면과 방산 외교 수단을 함께 고려한 결정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대통령실은 이날 관련 질문에 “장보고함은 퇴역 이후 방산 수출 및 협력 차원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다만 구체적인 제공 방식이나 시점 등 세부 내용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대통령실은 “진행 중인 방산 수출 사업 관련 세부 사항에 대해선 국제 관계와 관련 업체 등에 대한 영향성을 고려해 확인해드리기 어렵다”고 전했다.
폴란드는 오르카 프로젝트를 통해 약 3천t급 신형 잠수함 3척을 도입할 계획이다. 사업 규모는 잠수함 도입 비용만 약 3조4천억원 수준으로 알려졌으며, 유지·보수와 운영을 포함한 MRO 패키지까지 고려하면 최대 8조원 규모에 이를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수주전 경쟁 구도도 가볍지 않다. 우리나라의 한화오션이 사업 참여 의지를 드러낸 가운데, 독일 티센크루프마린시스템, 이탈리아 핀칸티에리, 스웨덴 사브 등 주요 방산 강국의 기업들이 잇따라 참전했다. 한국과 폴란드는 최근 전차와 자주포, 방공 시스템 등에서 대규모 방산 계약을 체결해 온 만큼, 잠수함 사업에서도 협력 확대가 이뤄질지 주목된다.
정치권과 방산 업계에선 장보고함 무상 양도가 향후 협상 과정에서 상징적 신뢰자산이자 기술 협력의 교두보로 활용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다만 경쟁 업체들과의 형평성, 노후 전력 제공에 따른 대외 이미지 등이 복합 변수로 작용할 수 있어 실제 수주 성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라는 신중론도 병존한다.
정부는 폴란드와의 기존 방산 협력 성과를 토대로 잠수함 사업 연계 방안을 모색하는 한편, 관련 업체들과도 전략을 조율하고 있다. 국방부와 대통령실은 방산 수출 확대를 경제 안보 전략의 한 축으로 삼고 있는 만큼, 향후 추가 협력 사업과 연계한 후속 조치도 함께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