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데이터센터 특별법 추진”…과기정통부, GPU 확보 가속에 방점
AI데이터센터 인프라 확대가 국내 인공지능(AI) 산업의 혁신 기본축으로 부상하고 있다.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9일 카카오 안산 데이터센터에서 산업계와의 간담회를 갖고, “첨단 GPU 확보 중심의 AI 고속도로 구축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신속히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업계 현장에서 나오는 법적·행정적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AI 데이터센터 특별법 제정’을 적극 검토한다는 메시지다.
이날 간담회에는 카카오, NHN클라우드, 네이버클라우드 등 주요 민간 기업과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참석해 AI컴퓨팅 인프라 경쟁력, 친환경 데이터센터 운영, GPU 조달 현황 등 현안을 공유했다. 과기정통부와 업계, 진흥원은 첨단 GPU 공급망 구축, 조기확보, 실무협의체 수시 운영 등 인프라 확충 방안을 논의했다.

기술적 측면에서 올해 1만3천 장의 GPU가 우선 확보되고, 내년에는 9천 장급 슈퍼컴 6호기가 새로 구축된다. 2030년까지 5만 장 이상의 GPU 조기 확보 목표도 제시됐다. 이러한 고성능 GPU는 대규모 AI 학습·추론 연산에 핵심적 기능을 하며, 글로벌 빅테크와 경쟁 가능한 토대를 제공한다는 평가다. 특히 카카오 데이터센터는 빗물 재활용, 태양광 설비 도입, 대학연계 등 친환경 및 지역상생 모델로 주목받았다.
AI 데이터센터 인프라는 AI모델 개발, 챗봇·음성인식·의료 AI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연구개발에서 상용화까지의 속도를 크게 높인다. 실제로 병원·제약기업·소프트웨어 스타트업 등 다양한 수요처가 등장하고 있으며, 국가 AI 경쟁력 좌우 변수가 되는 추세다.
글로벌로는 미국·중국 등에서도 정부와 빅테크가 대규모 GPU 수급 경쟁에 본격 뛰어든 상황이며, 유럽도 자체 AI 인프라 확충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국내 경쟁력 확보를 위해선 친환경 데이터센터 디자인, 에너지 효율성, 지역 주민과의 소통 등도 한층 중요해지는 양상이다.
정책적으로는 AI 모델 학습을 위한 데이터 수집·운용 규정, 컴퓨팅 인프라 구축 인허가 제도, 에너지 사용 효율기준 등 복합적 지원체계가 논의되고 있다. 배경훈 장관은 “현장 의견을 정책에 반영하고, AI 데이터센터 구축에 필수적인 정부 지원 체계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AI 고속도로 조기 완성과 함께, GPU 확보와 친환경 데이터센터 확산은 국가 IT산업 패러다임 전환의 기폭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산업계는 이번 정부의 강력한 인프라 확충 선언과 제도화 움직임에 기대를 거는 한편, 실제 시장 안착과 글로벌 수준의 지속가능성 확보 여부를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