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 직접 지급·유급 인턴 확대”…인도네시아, 새 경기부양책에 사회 불만 완화 기대
현지 시각 17일, 인도네시아(Indonesia) 정부가 수도 자카르타에서 30조 루피아(약 2조 6천억 원) 규모의 추가 경기부양책을 발표했다. 지난해 빈곤층 쌀 배급에 이어 올해는 전체 3천5백만 가구에 현금 지원과 청년 유급 인턴십 확대 등 직접적 민생 안정책이 동원됐다. 이번 조치는 최근 격화된 사회 불안에 대한 완충과 경기 재도약, 불평등 완화 등 다층적 목표를 노린 것으로 현지 전문가들은 해석하고 있다.
아이를랑가 하르타르토 경제조정부 장관은 기자회견을 통해 “올해 대학 졸업생을 위한 인턴십 프로그램 참가자를 2만 명에서 10만 명으로 대폭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기존의 1조 3천억 원 지원책과 쌀 배급 정책에 이은 이번 추가 부양책은, 취약계층의 생활 안정을 넘어 청년 실업 문제와 사회적 격차 해소에 방점을 찍었다. 하르타르토 장관은 “성장률 부양과 국민적 불만 해소에 동시 대응 중”이라고 강조했다.

동남아 최대 경제대국인 인도네시아는 올 8~9월 들어, 국회의원의 특혜 지급 논란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전국으로 확산되면서 심각한 사회 불안을 경험했다. 방화와 약탈, 충돌 사태까지 발생해 오토바이 배달 기사 등 최소 10명이 사망했고 20명이 실종돼 정부 대응에 대한 불만이 고조됐었다. 이에 따라 인도네시아 정부가 대규모 현금 지급 등 적극적 민생 부양책을 잇달아 내놓은 배경에 관심이 집중된다.
각국 외신과 지역 전문가는 이번 정책이 경제적 타격에 대응하는 동시에, 국민적 불만과 정치 리스크 완화를 겨냥한 압박 완화책이라 진단한다. 현지 경제일간지 ‘콤파스’는 “정부의 대규모 현금 지원이 사회 안정에 분명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전했다. 로이터, BBC도 “인도네시아가 사회적 격차 해소와 성장률 회복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노리고 있다”고 평했다.
향후 인도네시아 정부의 재정 여력과 정책 실효성, 사회 각계의 반응이 초점이다. 전문가들은 인도네시아가 동남아시아 내 경제 리더십을 지키기 위해 민생 안정 및 성장 전략을 병행할 것이라 전망하며, 이번 조치가 향후 국내외 투자 환경 개선에도 일정 부분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국제사회는 이번 발표의 실질적 이행 여부를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