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연준, 기준금리 동결 유지”…파월 매파적 발언에 뉴욕증시 하락 전환
국제

“연준, 기준금리 동결 유지”…파월 매파적 발언에 뉴욕증시 하락 전환

한지성 기자
입력

현지시각 30일, 미국(USA) 뉴욕증시에서는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기준금리를 현행 4.25~4.50%로 동결하며, 제롬 파월 의장이 매파적(긴축 선호) 메시지를 재차 강조함에 따라 주요지수가 일제히 약세를 기록했다. 이번 결정은 미국 경제 성장률 회복에도 불구하고, 금리 인하에 대한 투자자들의 기대를 약화시켜 글로벌 금융 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날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0.38% 하락해 44,461.28로 마감했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도 0.12% 내린 6,362.90을 기록했다. 반면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0.15% 소폭 상승한 21,129.67을 나타냈다. 연준은 회의 종료 후 “현 통화정책 기조가 경제 성장을 제약하고 있지 않다”며, 9월 이후의 추가 정책 변경 여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뉴욕증시, 연준 금리 동결에 다우 0.4% 하락…S&P500도 약세
뉴욕증시, 연준 금리 동결에 다우 0.4% 하락…S&P500도 약세

특히 파월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관세 정책 등 해결되지 않은 불확실성이 여전히 남아있다”며, 당분간 시장 상황을 예의주시하겠다는 뜻을 드러냈다. 이에 따라 금리 인하가 임박했다는 월가의 일부 기대가 꺾였으며, S&P500 지수는 발표 직전 강세에서 하락 반전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을 언급했음에도 불구, 시장은 연준의 이번 메시지를 ‘매파적’이라고 해석했다.

 

2분기 미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전 분기 대비 연율 3.0%로 집계되며 1분기의 -0.5%에서 크게 개선됐다. 그러나 이번 성장세에는 관세 정책에 따른 수입 감소가 반영된 만큼, 내수 부진 조짐이 동시에 지적됐다. JP 파워스 RWA 웰스파트너스의 최고투자책임자는 “정책결정문의 뚜렷한 변화는 없었지만, 관세 정책에 대해 시장의 불안감이 지속된다”며 후속 경제지표와 정책 모멘텀에 주목했다.

 

금리 인하 기대가 약해지자 채권시장도 즉각 반응했다. 10년 만기 미국 국채 수익률은 4bp 상승한 4.37%로 마감했으며, 2년물 수익률은 6bp 상승해 3.94%를 기록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 자료에 따르면, 9월까지 금리 동결 가능성에 베팅하는 비중이 54%로 껑충 뛰었다.

 

뉴욕타임스, 블룸버그 등 미국 주요 매체들은 “연준이 신중 기조를 이어가며 금리 인하에 신속히 나설 의향이 크지 않다”고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관세 정책 등 불확실성이 완전히 해소되기까지 Fed의 관망적 태세가 이어질 전망”이라고 진단하며, 향후 증시 변동성과 환율·채권시장 흐름에 주목하고 있다.

 

투자자들과 시장은 다음달 예정된 미국 주요 경제지표, 연준 인사들의 추가 발언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번 연준 결정과 파월 의장의 발언이 글로벌 자금 이동과 각국 통화정책 엇갈림에 어떤 흐름을 가져올지 주목된다.

한지성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연준#파월#뉴욕증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