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급식소 식중독 점검 강화…식약처, 4곳 적발 후속관리 예고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급식 시설의 위생 관리가 다시 한 번 도마 위에 올랐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전국 어린이집 집단급식소를 대상으로 식중독 예방 점검을 실시한 결과 일부 시설에서 기본적인 위생 규정을 어긴 사례가 확인됐다. 어린이집 급식은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의 건강과 직결되는 만큼, 업계와 보육 현장에서는 이번 조치가 영유아 급식 안전망을 재점검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영유아 급식시설의 식중독 예방을 위해 전국 어린이집 집단급식소 3892곳을 점검한 결과, 식품위생법을 위반한 4개소를 적발해 관할 지방자치단체에 행정처분을 요청했다고 20일 밝혔다. 점검은 17개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지난달 13일부터 31일까지 약 3주간 진행됐다.

이번 점검에서는 현장 위생 상태 확인과 동시에 식중독균 오염 여부를 가리기 위한 조리식품 및 조리기구 수거 검사가 병행됐다. 당국은 조리 환경, 종사자 개인위생, 보존식 관리, 건강진단 이행 여부 등 식중독 예방을 위한 기본 관리 항목을 중점적으로 점검했다.
위반 내용은 조리용 기계와 기구, 작업장 청결 관리 미흡과 조리 종사자의 마스크 미착용 등 위생적 취급 기준 위반이 2건으로 가장 많았다. 여기에 조리된 음식을 일정량 보관해 식중독 발생 시 역학조사에 활용하는 보존식을 남기지 않은 사례 1건, 급식 종사자에 대해 정기 건강진단을 실시하지 않은 사례 1건도 적발됐다. 적발 시설은 관할 지자체에서 과태료 부과 등 행정처분을 받게 되며, 6개월 이내 재점검 대상에 포함된다.
점검과 병행된 미생물 검사는 상대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식약처는 조리식품과 조리기구 등 총 648건을 수거해 식중독균 등 기준·규격 적합 여부를 검사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검사가 완료된 567건은 모두 적합 판정을 받았다. 나머지 81건은 검사가 진행 중으로, 결과에 따라 추가 행정조치가 이뤄질 수 있다.
식중독 예방을 위한 집단급식 관리 강화는 보건·바이오 안전 관리 체계의 핵심 과제로 꼽힌다. 특히 영유아는 성인보다 면역체계가 취약해 소량의 오염에도 중증으로 진행될 위험이 있어, 업계에서는 조리 단계별 온도 관리와 교차오염 차단, 종사자 상시 위생 교육 등 현장 관리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정부는 식중독 발생이 늘어나는 계절과 취약 계층을 중심으로 집단급식소 위생점검을 반복적으로 실시해 왔다. 식약처는 이번 점검을 계기로 어린이집 급식소를 포함한 고위험군 집단급식소에 대한 사전 예방 관리와 현장 지도를 지속 강화하겠다는 입장이다. 식약처 관계자는 앞으로도 국민의 안전한 식생활 환경 조성을 위해 어린이집 등 집단급식소 위생점검을 계속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산업계와 보육 현장은 적발 사례를 계기로 위생 관리 수준을 한층 끌어올릴 수 있을지 주목하는 분위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