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해병특검, 윤석열 피의자 신분 소환”…수사외압·이종섭 도피의혹 정면 겨냥

강민혁 기자
입력

수사외압 논란이 정국의 중심 이슈로 부상한 가운데, 특별검사팀과 윤석열 전 대통령이 정면으로 맞붙었다. 채상병 순직 사건의 진상 규명을 둘러싸고 여야의 갈등이 격렬해지는 가운데, 윤 전 대통령의 피의자 소환이 현실화됐다. 시민단체와 정치권은 잇단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도피 의혹, 외압 논란을 도마 위에 올리며 여론전까지 가열되고 있다.

 

서울구치소에 수감 중이던 윤석열 전 대통령은 11일 오전 9시 20분 법무부 호송차를 타고 서초동 해병특검팀 사무실로 이동했다. 이날 도착 시간은 9시 47분으로, 특검팀은 현장 안전과 변호인 요청을 이유로 기존 원칙과 달리 지하주차장 출입을 허용했다. 윤 전 대통령 측 채명성·배보윤 변호인도 현장에 곧바로 합류했다. 건물 인근에는 윤 전 대통령을 지지하는 시민들이 모여 집회를 이어갔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직권남용, 범인도피 혐의를 받는 피의자 신분이다. 특히 2024년 채상병 순직 사건 당시 ‘VIP 격노’의 당사자로 지목된 데다,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을 수사 대상에서 제외시키도록 외압을 행사했다는 의혹이 쟁점이다. 여기에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을 호주 대사로 임명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수사를 피하도록 했다는 '도피 시도' 혐의까지 더해지며 논란이 확산됐다.

 

특검팀 관계자는 "윤 전 대통령을 상대로 우선 수사외압 의혹 전반에 대한 진술을 청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날 조사는 천대원 부장검사가 주도하며, 윤 전 대통령의 진술 태도에 따라 이종섭 전 장관 도피 의혹 조사로도 곧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했다. 조사 양이 방대한 만큼 특검팀은 최소 2회 이상 소환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해병특검팀의 공식 수사 기한은 28일까지다.

 

정치권 내부에서는 이번 소환을 두고 여야 간 책임 공방이 거세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 인사는 "국정 책임자였던 윤 전 대통령이 단 한 점 의혹 없이 진실을 밝히라"고 촉구하는 한편, 국민의힘 등 보수 진영은 "정치적 목적의 표적수사"라며 강력 반발하는 분위기다. 시민사회 역시 사건의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특검 결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모습이다.

 

통상적이지 않은 대통령 출신 피의자 소환에 따라, 향후 검찰·특검 수사와 정국의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미 윤 전 대통령은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팀의 두 차례 출석 요구에 불응하다 체포영장 집행 직후 자진 출두한 바 있다. 하지만 당시 대부분의 진술을 거부한 전례가 있어, 이번 조사에서도 신속한 진상 규명이 이뤄질지 정치권과 국민적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해병특검팀은 이날 윤 전 대통령 조사 이후 후속 절차를 신중히 검토할 예정이다. 정치권은 특검 수사 성과를 놓고 정면 충돌하고 있으며, 국회 역시 사건의 후속 파장을 예의주시하는 상황이다.

강민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윤석열#해병특검#이종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