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착증·디스크 구분이 관건”…비수술 척추치료 확대 → 정밀의료 시장 주목
허리통증 환자가 급증하는 계절, 엉치가 쥐어짜듯 아픈 증상으로 병원을 찾는 이들이 늘고 있다. 이 가운데 신경이 지나는 척추관이 좁아져 발생하는 척추관협착증이 흔히 디스크(추간판탈출증)로 오인돼, 진단과 치료 방향에서 변화가 포착된다. 전문의들은 증상의 세밀한 구분과 비수술 치료법의 발전이 향후 척추 치료 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꿀 조짐으로 본다.
연세스타병원이 진단하는 척추관협착증은 주로 50세 이상에서 근육 약화, 신경 압박으로 걷기 곤란·다리 저림·엉치 통증 등 증상을 보인다. 환자 표현도 “엉치뼈가 쥐어짜는 듯 아프다” 등 엉치·하지 위주다. 디스크의 ‘허리 숙일 때 악화·뻗치는 다리 통증’과 달리, 협착증은 허리 숙이기가 한시적으로 통증 경감에 관여한다. 이 같은 특징은 진단 과정에서 중요한 구분점이다.

의료 현장에서는 다양한 비수술적 치료가 각광 받고 있다. 약물·물리·운동치료, 신경주사에 이어 신경성형술까지 적용 범위가 넓어졌다. 신경 부위 유착·염증을 해소해 통증 완화 속도를 높이는 신경성형술은 회복 촉진에 도움이 되지만, 자세 교정과 근육 강화 운동이 반드시 병행돼야 효용성이 지속된다. 전문가들은 “통증을 오래 참으면 허리 근위축이 심해져 회복이 더뎌진다”며 조기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최소침습 수술도 기술 고도화가 이뤄지고 있다. 내시경·미세현미경을 활용한 좁아진 척추관 확장 수술은 위험성·회복 기간을 낮춰, 고령 환자도 적응이 용이하다. 단, 보존적 치료에도 통증이 극심하거나 마비·배뇨 장애 등 진행 된 신경 장애가 동반된 경우 시술 고려가 필요하다.
이러한 기술 발전은 환자 맞춤형 치료, 정밀의료 트렌드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짧게 자주 걷기, 앉거나 서서 엉덩이에 반복적으로 힘주기 등 생활 속 운동의 의학적 효과에 대한 데이터가 축적되며, 일상 관리와 임상 치료의 접점이 확대됐다. 반면 허리를 비트는 동작은 지양해야 한다는 임상 권고도 세분화되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비수술 치료를 중시하는 환자 중심 의료 서비스와 척추 질환 조기 진단 솔루션 개발 경쟁이 치열하다. 미국, 일본 등 의료 선진국에서도 영상 AI 기반 진단, 운동 데이터 분석을 접목한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이 시장에 속속 등장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의학적 근거에 기반한 치료법 인증·식약처 규제 체계 확립도 활발하다. 의료기기·시술기술 고도화와 함께 실손보험 적용 범위, 전자의무기록(EMR) 기반 통합 진료 등도 산업 파급력을 높인다. 전문가들은 “조기 진단과 생활 관리를 접목한 척추 질환 솔루션이 노년층 건강 패러다임을 바꿀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산업계는 이번 기술들이 실제 정밀의료 시장에 안착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