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신산업 혁신거점 조성”…서울시, 용산 나진상가 15·17·18동 개발 본격화
도시경쟁력 강화를 둘러싼 정책 구상과 서울시의 개발 결정이 맞붙었다. 용산전자상가 내 나진상가 15·17·18동이 AI·로봇 등 미래 신산업 혁신거점으로 새롭게 조성될 전망이다. 공공기여 계획에 따라 제2보훈회관도 함께 건립돼, 향후 이 일대의 도시 위상이 크게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지난 25일 제14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열고 '용산 지구단위계획(변경) 및 용산전자상가지구 특별계획구역7, 8 세부개발계획 결정(안)'을 수정 가결했다고 26일 밝혔다. 이에 따라 동측에 위치한 나진상가 15동(특별계획구역7)과 17·18동(특별계획구역8)이 미래 전략산업의 핵심 거점으로 탈바꿈하는 세부 계획이 확정됐다.

세부계획에 따르면, 특별계획구역7은 지하 8∼지상 21층 규모(연면적 2만7천627㎡, 용적률 949%), 특별계획구역8은 지하 8∼지상 27층 규모(연면적 15만5천367㎡, 용적률 975%)로 조성된다. 두 구역 모두 인공지능과 로봇 등 신산업용도 중심의 업무시설, 근린생활시설 등이 들어선다. 또한 공공기여안에는 약 400대의 차량을 수용할 수 있는 공영주차장과 함께 제2보훈회관 신설이 포함됐다.
특히 제2보훈회관은 올해 6월 오세훈 서울시장이 보훈단체와의 간담회에서 처음 건립 구상을 밝힌 이후 정책 구상에서 현실화 단계로 접어들었다. 9층 규모로 계획된 이 보훈회관은 2025년 하반기 건축 인허가를 거쳐 2030년 완공을 목표로 한다.
정치권과 도시계획 전문가들은 이번 서울시의 세부개발계획 결정이 용산전자상가 일대의 산업 지형에 신호탄을 쏘았다는 데 의미를 두고 있다. 또한 도시재생과 미래산업 인프라 확충이라는 정책 기조에도 힘이 실릴 전망이다. 이에 대해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이번 세부개발계획 결정으로 용산전자상가 일대가 서울의 도시경쟁력을 제고하는 신산업 혁신거점으로 거듭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주민과 상인, 정치권의 관심이 집중된 가운데 서울시는 앞으로도 추가 특별계획구역의 개발 방향 논의를 이어갈 계획이다. 올해 하반기 인허가와 설계 절차가 착수되면, 도심 내 신산업 기반 조성에 한층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