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수사 어떻게 되나" 메시지 정황…내란특검, 김건희·해병특검 압수수색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의혹을 둘러싼 갈등이 다시 격렬해졌다.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김건희 여사와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 사이에 오간 부정 청탁 정황을 추적하며, 김건희특검과 순직해병특검 사무실을 동시 압수수색하는 강수를 꺼냈다.
법조계에 따르면 조은석 특별검사팀은 24일 법원에서 압수수색영장을 발부받아 김건희특검과 해병특검을 대상으로 전방위 압수수색을 집행했다. 특검팀은 김 여사가 관저에서 사용하던 비교적 최근 휴대전화의 통신 내역과 저장 자료를 제출받기 위한 목적에서 강제 수사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팀은 내란 가담 혐의로 수사 중인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이 김건희 여사로부터 부정한 청탁을 받은 정황을 포착하고, 청탁금지법 위반 혐의를 적용해 영장을 청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수사 대상에는 김 여사 관련 검찰 수사 경위와 검찰 인사 개입 여부 등이 폭넓게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조사 대상 시점은 지난해 5월 서울중앙지방검찰청 지휘라인 교체 전후로 모아진다. 이원석 당시 검찰총장은 2024년 5월 2일 김건희 여사의 명품가방 수수 의혹을 다루기 위해 서울중앙지방검찰청에 전담수사팀 구성을 지시했다. 그러나 불과 12일 뒤 법무부가 서울중앙지방검찰청 내 김 여사 수사 지휘부를 전면 교체하는 인사를 단행하면서, 배경을 둘러싼 논란이 커졌다.
해당 인사에서 송경호 당시 서울중앙지방검찰청장과 김창진 1차장검사, 고형곤 4차장검사가 모두 좌천성 인사를 받았다. 특검팀은 이 인사 과정에 김 여사가 박 전 장관에게 수사 무마를 요청했는지, 청탁이 실제 인사에 반영됐는지 여부를 핵심 쟁점으로 보고 있다.
수사 과정에서 김 여사가 박성재 전 장관에게 자신의 검찰 수사와 관련한 메시지를 보낸 사실도 드러난 것으로 전해졌다. 메시지에는 이원석 전 검찰총장이 대통령실로부터 사퇴 요구를 받고 이에 대한 항의 차원에서 김 여사에 대한 신속 수사를 지시했고, 이로 인해 수사팀 지휘부가 교체됐다는 취지의 글이 포함돼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은 이른바 지라시로 유통된 내용을 박 전 장관이 전달받았는지, 또 수사와 인사에 어떤 영향이 있었는지를 추궁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팀은 여기에 더해 김 여사가 박 전 장관에게 메신저를 통해 자신의 수사 진행 상황을 반복적으로 문의한 대화 내용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 관계자에 따르면 메시지에는 김 여사가 박 전 장관에게 내 수사는 어떻게 되고 있나, 김혜경 전 성남시장의 배우자와 김정숙 전 영부인의 수사는 왜 진행이 잘 안되나라는 취지로 묻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고 한다.
부정 청탁 의혹은 검찰 수사보고서 전달 정황으로도 확장되고 있다. 당시 검찰은 창원지방검찰청에 전담수사팀을 꾸려 명태균 씨의 공천개입 의혹을 수사했고, 2024년 11월 수사보고서를 작성했다. 보고서에는 명 씨가 김 여사와 여러 차례 메시지를 주고받으며 긴밀히 소통한 내용이 포함돼 있었다고 전해졌다. 특검팀은 박 전 장관이 이 수사보고서를 검찰로부터 보고받은 뒤, 김 여사에게 그대로 전달했는지 여부를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다.
조은석 특별검사팀은 이러한 부정 청탁 의혹과 계엄 선포 결정 간 연관성에도 주목하고 있다. 특검팀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를 결심하는 과정에서 김 여사의 사법 리스크가 동기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는지, 또 김 여사와 박 전 장관 사이의 청탁 정황이 불법 비상계엄 선포라는 내란 행위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수사하고 있다.
박지영 특별검사보는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계엄 동기 규명을 수사의 핵심 목표로 제시했다. 그는 계엄 동기와 연관성이 있을 수 있는 부분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하며, 부정 청탁 의혹 수사가 내란·외환 사건의 구조를 밝히는 단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특검팀의 강제 수사는 박성재 전 장관을 둘러싼 또 다른 의혹으로도 뻗어가고 있다. 특검팀은 이날 박 전 장관의 합수부 검사 파견 검토 의혹과 관련해 대검찰청을 추가 압수수색한 것으로 파악됐다. 합수부 인력 파견 논의가 계엄 수사나 청탁 의혹과 어떤 교차점을 갖는지, 검찰 지휘 라인과의 교감 여부가 있었는지가 쟁점이다.
박 전 장관에 대해서는 앞서 두 차례 구속영장이 기각된 바 있다. 법원은 구속 필요성이 소명되지 않았다는 취지로 판단했지만, 특검팀은 추가 압수수색으로 확보한 자료를 토대로 혐의 구성을 정밀하게 다듬고 있다. 법조계에서는 특검팀이 수사 결과를 종합해 박 전 장관을 추가 구속영장 청구 없이 불구속 기소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을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정치권에서는 계엄 선포 동기와 제1부속실 사법 리스크가 맞물리는 구조가 드러날 경우, 향후 내란·외환 사건 재판뿐 아니라 여야 공방에도 큰 파장을 낳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검팀은 압수수색으로 확보한 자료를 분석한 뒤 관련자 소환 조사와 추가 영장 청구 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다. 국회와 정치권은 특검 수사 진척 상황을 주시하며 내란·외환 의혹 전반에 대한 본격적인 책임 공방에 대비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