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태 감염병 대응 허브 겨눈다”…생명연, 국제 협력 포럼 개최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감염병 대응 체계 강화가 글로벌 보건 환경 변화의 핵심 키워드로 떠오르고 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 28~29일 제주에서 개최하는 '제4회 아시아-태평양 감염병 실드(APIS) 포럼'은 감염병 연구 공조 강화와 한국의 글로벌 허브 도약이라는 국내외 보건 산업계의 관심을 집중시킨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글로벌 감염병 연구개발(R&D) 예산이 축소되는 가운데, 아시아 지역의 감염병 위기 대응 역량 확보가 현안으로 부상했다. 업계에선 이번 포럼이 ‘공조 경쟁의 전환점’이 될 수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이번 행사는 아시아개발은행(ADB), 싱가포르 테마섹재단, 일본 AMED, 태국 BIOTEC 등 주요 연구비 관리기관과 필리핀·인도·인도네시아의 국가 바이오 연구기관이 한자리에 모여 양일 간 개최된다. 미국, EU 등 전통적 중저소득국 감염병 지원국의 예산 감소로 인해 지역 내 자체 협력과 역량 강화 필요성이 커진 가운데, 생명연구원은 APIS 포럼을 통해 아시아 각국의 협력 모델을 구체화한다는 방침이다.

APIS 포럼 의제는 코로나19 이후에도 지속되는 신종 감염병 위협과 공중보건 리스크, 대규모 팬데믹에 대응하기 위한 지역 내 신속한 연구개발 및 대응체계 구축에 집중한다. 특히 미국, EU 중심 자금 지원 체계의 공백이 아시아·아프리카 저소득국 보건안전에 미칠 파장 최소화가 주요 논점이다. 권석윤 생명연구원장은 “포럼을 통해 아·태 국가들이 독립적 감염병 연구 인프라와 협력 구조를 갖추게 될 것”이라며, “한국이 주도적 네트워크를 통해 중저소득국 연구 역량을 실질적으로 지원할 기반이 마련된다”고 밝혔다.
실제로 세계적으로는 미 국립보건원(NIH), 유럽 CDC 등도 팬데믹 협력체계 구축을 시도하고 있다. 반면, 지역 단위 네트워크로서의 APIS는 국내외 감염병 R&D, 공공재원 분담, 데이터 공유 등 실질적 협력 스킴에서 차별화된 전략을 제시할 수 있다. 아시아 내 국가별 조기경보시스템, 백신 후보물질 임상 공동연구, 위험도 평가 데이터베이스 확장 논의도 본격화된다.
전문가들은 “지역 기반의 협력체계 없이 글로벌 감염병 원천 기술 확보나 백신 전략 수립이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지적한다. 특히 국제공조와 데이터 공유를 위한 신속한 제도화, 정보보호 규제, 연구비 배분의 투명성 강화가 향후 정책 과제로 꼽힌다. 생명연구원은 포럼 이후에도 ‘아·태 R&D 분담 체제 정례화’와 ‘저소득국 연구인력 육성 펀드’ 등 구체적 실행안을 내놓을 계획이다.
산업계는 이번 포럼이 실제로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감염병 대응 역량을 높일 전기로 작용할지 주시하고 있다. 팬데믹 이후 글로벌 R&D 구조 변화와 글로벌-로컬 간 책임분담 논의가 함께 맞물리면서, 감염병 대응 네트워크의 발전 방향이 한국 바이오산업의 입지에 긴요한 변수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