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백악관에 구애하는 친일 검증 행각”…북한, 한일정상회담 직후 이재명 대통령 실명 비난
정치

“백악관에 구애하는 친일 검증 행각”…북한, 한일정상회담 직후 이재명 대통령 실명 비난

조보라 기자
입력

한일정상회담을 둘러싸고 북한과 이재명 대통령이 정면으로 충돌했다. 북한이 한일 정상 간 회담 결과를 두고 강도 높은 대남 비난을 쏟아내면서 한미일 군사협력 강화 논란도 불붙고 있다. 북한이 직접 이재명 대통령 실명을 언급하며 비난 수위를 조절한 점도 눈길을 끈다.

 

조선중앙통신은 8월 25일 김혁남이라는 개인 필명의 글을 통해 “워싱턴의 오해를 덜어보려는 서울의 불안심리가 빚어낸 하나의 외교촌극”이라고 한일정상회담을 평가했다. 이 기고문은 “곧 만나게 될 백악관 주인을 향한 구애의 메시지”라며, 한미일 협력 강화 합의가 사실상 미국에 대한 한국 정부의 저자세 신호라고 주장했다.

특히 북한은 이번 글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실명을 직접 거론하며, “리재명이 야당 대표 시절 내세웠던 대일강경 발언의 반일 감투 때문”이라며 집권 이후 일본과 미국 양국으로부터 차가운 반응을 얻고 있다고 비꼬았다. 또한 “친미사대외교의 전통까지 무시한 듯한 이번 도쿄행각의 배경에는 바로 현 집권자에 대한 미국의 불신과 그로 인한 하수인의 번민이 얽혀 있다”고 비판했다.

 

북한은 “백악관 나들이 때 있을 수 있는 외교참사도 피해볼 작정”이라며 이번 한국 대통령의 일본 방문을 가리켜 “자발적인 친일 검증 행각”이라고 강도 높게 비난했다. 또한 “앞으로 친일 신조를 행동적으로 증명하려는 이 서울 위정자의 과잉욕구가 지역의 안보위기를 한층 고조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미일 3각 군사 공조에 대한 경계심도 드러냈다. 북한은 “미국 상전의 눈에 들기 위해 침략적인 미일한 3각 군사공조 실현의 척후로 나서 조선반도와 지역의 평화와 안전을 거래 흥정물로 내걸고 있다”며, 한국 정부의 대외 기조가 한반도 안보 리스크를 키운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이번 발언은 당국자 명의 성명이나 담화가 아니라 개인 명의의 기고문 형태로 발표됐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수위 조절을 의식했다는 점에 주목하며, 한일 정상회담 이후 남북간 정세 변화에 따라 추가 대응 수위를 검토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정치권은 강경 입장을 보이는 북한 대응을 두고 신중히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면서, 한일 정상회의 후속 외교 일정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조보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북한#이재명#한일정상회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