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전산망 복구율 98%”…국정자원, 재난 대응 시스템 정상화 속도전
정부 IT 인프라의 중추인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마비됐던 정부 전산망 시스템의 98%가 복구됐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11일 오후 5시 기준, 전체 709개 시스템 가운데 재난영상전송, 소방공무원 보건안전관리 등 695개가 정상화돼 국민 생활과 직결된 핵심 IT 서비스의 신속한 복구가 눈길을 끈다. 업계는 신속 복구가 공공 전산망 안전 경쟁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평가한다.
이번 복구 작업은 1등급(대국민·비상대응 등 국가 핵심서비스)부터 4등급(일상 행정지원 시스템)까지의 전산망이 동시에 대상이었다. 특히 1등급 40개 시스템은 100% 복구, 2~4등급 시스템들도 95% 이상 복구율을 보여,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복구 프로세스가 작동했다. 빠른 복구의 배경에는 데이터 이중화, 긴급 예비 서버 가동 등 IT 인프라 안전장치가 마련된 점이 핵심으로 꼽힌다.

재난영상전송(소방청), 기록물 통합서비스(행안부), 물품관리(조달청) 등 이번 화재로 일시 중단됐던 서비스는 의료·공공안전·행정 효율성에 직결되는 국가정보 기반 서비스다. 일반 국민 민원과 공공기관 업무에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예비 전산망과 실시간 데이터 동기화 등 공공 IT 복원력(recovery) 전략이 효율적으로 작동했다는 평가다.
글로벌 추세를 보면 미국, 유럽 등지에서도 공공 재해복구(DR: Disaster Recovery) 시스템 강화와 안전성 인증이 산업 경쟁력 척도로 활용되고 있다. 최근 일본, 싱가포르 등의 대규모 전산망 사고 사례와 비교해도, 한국 정부의 대응 속도와 관리체계는 일정 수준에 도달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편 데이터법, 전자정부법 등에 따라 국가 주요 IT 시스템은 안전성 기준을 상향 적용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특정 재난 시 대국민 서비스 중단 기간 최소화가 곧 신뢰의 척도”라며, 향후 사전 재해복구 시나리오 강화와 비상복구 체계 고도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산업계에서는 정부 전산망의 신속한 회복이 실제 공공 IT 시장 신뢰 회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면서도, 궁극적으로는 복구 속도뿐 아니라 사전 위험예방을 위한 인프라 이중화 및 지속적 모니터링이 병행돼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