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AI 풀스택으로 업무 혁신”…삼성SDS, 에이전트 솔루션 본격화
IT/바이오

“AI 풀스택으로 업무 혁신”…삼성SDS, 에이전트 솔루션 본격화

송다인 기자
입력

AI 에이전트가 주도하는 새로운 업무 혁신 시대가 IT 업계 핵심 이슈로 떠올랐다. 삼성SDS는 11일 열린 ‘리얼 서밋(REAL Summit) 2025’에서 인공지능(AI) 풀스택 서비스 전략을 공개하고, 전 산업 분야에 걸친 AI 트랜스포메이션의 실질적 조건을 제시했다. AI와 클라우드, 데이터·보안 역량을 통합하는 이 전략은 복잡한 기업 환경에서 AI 도입 성공률을 현실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업계는 이번 발표를 ‘AI 기반 기업 경쟁력 전환의 분기점’으로 해석하고 있다.

 

삼성SDS는 이날 행사에서 ‘AI 풀스택’ 개념을 명확히 하며, 생성형 AI 플랫폼 ‘패브릭스(FabriX)’, 업무 자동화 솔루션 ‘브리티 오토메이션(Brity Automation)’, 퍼스널 AI 비서 ‘브리티 코파일럿’ 등 주요 솔루션을 선보였다. 풀스택은 AI 기술 구현부터 안정적 운영에 필요한 인프라와 플랫폼, 컨설팅, 실제 구축 경험까지 포괄한다. 삼성SDS 이준희 대표는 “AI 트랜스포메이션은 단순 기술 도입이 아니라 기업 변화 여정”이라고 강조하며, 기업 맞춤형 혁신 컨설팅 역량과 오랜 구축 경험이 결합된 서비스를 내세웠다.

기술적 측면에서 삼성SDS는 자체 클라우드 플랫폼(SCP)을 토대로 대형언어모델(LLM)과 기업 IT시스템을 연결하는 생성형 AI 플랫폼 ‘패브릭스’를 중심에 뒀다. 이 플랫폼은 MCP(Model Context Protocol)와 A2A(Agent-to-Agent)라는 개방형 프로토콜을 통해, 여러 AI 에이전트가 기업 내외부 데이터를 안전하게 통신, 협업하며 업무 시나리오 자동화를 지원한다. 기존 대화형 어시스턴트와 달리, AI 에이전트는 개별 사용자의 일정·선호 등 맥락 분석과 행동 실행까지 스스로 처리하는 점이 특징이다.

 

시장 활용성도 뚜렷하다. 패브릭스 기반 에이전트 제작·공유 기능을 통해, 기업들은 다양한 부서별·현장별 맞춤형 AI 프로세스를 빠르게 도입할 수 있다. 브리티 코파일럿은 개인별 업무 데이터 활용과 반복 상호작용을 토대로 ‘맞춤형 AI 비서’가 될 수 있음이 강조됐다. 예를 들어, 영상회의 자동 통역(인터프리팅 에이전트), 업무 일정 알림(브리핑 에이전트), 문서 추천(큐레이팅 에이전트), 실시간 질의응답(앤서링 에이전트), 음성제어(보이스 에이전트) 등 구체적인 업무 도구 구현이 가능하다.

 

글로벌 기업들 역시 AI 풀스택 전략 경쟁에 뛰어든 상황이다.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웹서비스(AWS) 등은 각기 자체 AI 플랫폼과 인프라, 컨설팅을 결합하고 있으며, 국내외 대기업들도 엔터프라이즈 특화 LLM 도입 및 맞춤형 에이전트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삼성SDS는 패브릭스 고유의 데이터 연결·확장성, 국내 기업 특화 지원 경험에서 차별화 우위를 내세운다.

 

정책·규제 측면에서는 민간·공공 영업비밀, 개인정보보호 등 엄격한 데이터관리 요건에 대응하기 위한 보안 설계와 표준화 노력이 병행된다. 이날 행사에서는 행정안전부의 범정부 AI 전환(AX) 혁신, 고용노동부 클라우드 기반 근로감독관 AI 시스템 등, 공공영역에서의 실증 사례도 소개됐다.

 

전문가들은 AI 풀스택 서비스가 도입되는 시점을 ‘엔터프라이즈 AI 실전 도입의 전환점’으로 평가한다. 삼성SDS 측은 “AI와 클라우드 기술을 통해 기업 고객의 전사적 혁신을 촉진하겠다”고 밝혔다. 산업계는 이번 전략이 실제 현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기술과 서비스의 융합, 신뢰·윤리성 확보가 AI 트랜스포메이션 성공의 핵심 조건으로 부상하고 있다.

송다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삼성sds#ai에이전트#패브릭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