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용적 AI로 3대 강국 도약”…하정우, 국가 AI 실행계획 비전 제시
사람 중심의 인공지능과 민간주도의 ‘원팀’ 전략을 내세운 국가 AI 정책에 힘이 실리고 있다. 하정우 대통령실 AI미래기획수석이 26일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특별강연에서 직접 ‘대한민국 인공지능(AI) 액션 플랜’ 발표를 예고하며, 포용과 균형, 혁신을 골자로 한 정책 방향을 공개했다. 국가AI전략위원회가 조만간 공식 출범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AI 3대 강국 도약 청사진에 정치권과 정책 현장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하정우 수석은 “AI 액션 플랜의 기본 방향은 사람 중심의 포용적 AI, 민간이 앞서고 정부가 지원하는 원팀 전략, AI 친화적인 정부와 제도, 지역균형 발전”이라고 밝혔다. 이어 “소버린 AI(국가 자립 인공지능) 능력을 확보하고,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는 것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이를 위해 7대 축, 10대 핵심전략, 50여 개의 세부 실행계획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7대 축은 컴퓨팅·반도체 등 인프라, 연구체계와 데이터 구축, 산업과 생태계의 AI 전환(AX), 인재 확보, 공공서비스 혁신과 AI 기반 사회, 문화강국 구현을 위한 AI, 국방·안보 AI, 글로벌AI 리더십 등으로 제시됐다. 하정우 수석은 “에너지·반도체 등 첨단 인프라부터 얼마나 잘 AI를 활용하느냐까지, 전체 경쟁력을 높여 3대 AI 강국으로 나아가는 것이 기본 철학”이라고 설명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AI 전략 주도권을 둘러싼 논의가 이어졌다. 특히 민간의 자율성 보장과 정부의 역할 재정립, 지역균형·안전망 마련 등 여러 과제에 대한 견해차도 감지된다. 다만 이날 강연장의 정부 실무자들은 “실행계획이 단계별로 구체화돼야 한다”는 점에서는 공감대를 보였다.
AI 정책 구상 발표는 내달 초로 예정된 국가AI전략위원회 공식 출범과 동시에 가시화될 전망이다. AI 산업 경쟁, 기술 주권, 산업 전방위 파급력이 본격 도마에 오르면서, 국회와 정치권의 입법·정책 논의도 더욱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