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농해수위 국감, 현안 질의 중심”…농어촌공사 등 피감기관 자성 촉구

문수빈 기자
입력

정쟁과 파행이 아닌 현안 논의에 집중한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농촌진흥청과 한국농어촌공사 등 피감기관이 질의에 즉각 사과하며 자성의 목소리를 높였다. 여야 의원들은 꼼꼼한 준비와 도표, 영상 자료 등을 토대로 농업 현장을 겨냥한 질의를 쏟아냈고, 국감 현장은 차분하게 마무리됐다.

 

17일 농촌진흥청에서 진행된 국정감사에서 어기구 더불어민주당 의원장과 소속 위원들은 예정된 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모든 질의를 마쳤다. 어기구 위원장은 오전 질의 종료 시 “의원님들이 질의를 너무 잘해주셔서 딱 맞춰서 끝났다”고 언급하며 현장 분위기를 전했다. 이어 그는 “저도 잠깐 질문 2개 정도만 하고 끝내겠다”고 밝히며 한국농어촌공사에 해외 농지 관리 방안, 한국농수산유통공사에 온라인 도매시장 활성화에 대한 입장을 요구했다.

이날 국감은 그간 상임위에서 흔히 발생했던 고성이나 신경전이 없는 가운데 각 의원별 현안 집중 질의가 이어졌다. 특히 더불어민주당 문금주 의원은 농어촌공사가 제작한 ‘RE100’ 홍보 영상에 대파밭을 갈아엎는 장면이 등장한 점을 문제삼으며, “농민의 심정을 이해한다면 저 영상은 쓰면 안 된다"고 비판했다. 문 의원은 “공감 능력이 부족한 것”이라고 덧붙였고, 김인중 농어촌공사 사장은 “직원들이 대파를 수확하는 것으로 착각한 것 같다”며 “꼼꼼히 살펴보지 못해 죄송하다”고 즉시 사과했다.

 

민주당 서삼석 의원은 농업인안전보호법 관련 질의 중 실수를 한 이승돈 농촌진흥청장의 오후 사과를 상기시키며, “밤낮 없이 국감을 준비한 직원들을 생각하면 청장이 그래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국민의힘 소속 조경태 의원은 살균제 ‘클로로탈로닐’ 남용, 고령화, 식량 수입 의존 심화 등 농촌의 민감 현안을 데이터로 정리해 제시했고, 이에 대해 농진청장은 “더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답했다. 이만희 의원은 농업위성 개발의 후발주자 현실을 지적하며 “먼저 시작한 미국이나 유럽의 농업위성이 제네시스라면 우리는 아반떼 수준이라는 걱정이 있다”고 해 위성 전담 조직의 분발도 강조했다.

 

이날 질의와 답변은 차분한 분위기 속에 공방이나 항의 없이 진행됐다. 국감은 당초 예정했던 오후 4시께 별다른 파행 없이 마무리됐다.

 

국회는 올해 농해수위 국감이 현안 해결 중심의 모범 사례로 평가받는 가운데, 후속 정책 개선과 피감기관의 현장 대응 강화 여부에 귀추가 주목된다.

문수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어기구#농해수위#농어촌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