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한 조치 언급 직접 들었다”…내란특검, 신원식 전 안보실장 재소환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과 윤석열 전 대통령의 측근들이 치열하게 맞붙었다. 12·3 비상계엄 사태를 둘러싼 당시 발언과 행동이 진실공방 양상으로 번지면서, 정국은 다시 한 번 격랑에 휩싸였다. 작년 3월 삼청동 안가 회동에서 오간 대화와 실무자 내부 이견이 재조명되자 정치권 안팎의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조은석 특별검사팀은 8일 오전 신원식 전 국가안보실장을 세 번째로 소환해 조사하고 있다. 신 전 실장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삼청동 안가에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조태용 전 국가정보원장과 함께한 비공개 회동에 참석했던 주요 인물이다. “윤 전 대통령이 ‘비상한 조치’라는 표현을 쓴 사실이 있다”며, 당시 상황을 가까이서 목격했다고 신 전 실장은 진술해 왔다.

신 전 실장은 이 자리에서 김 전 장관을 통해 사실상 반대 입장도 전달했다고 강조했다. “비상계엄 방침에 반대했고, 무슨 비상계엄이냐고 만류했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반면 조태용 전 국정원장은 “윤 전 대통령에게서 비상대권 언급을 들은 기억이 없다”고 증언하는 등, 동일 회동에 대한 핵심 인물들의 진술이 대립각을 세웠다. 신 전 실장은 계엄 선포 당시 국무회의가 열리는 사실도 몰랐다며, 대기실에 머물다가 뒤늦게 윤 전 대통령에게 만류의 뜻을 전달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회가 계엄 해제를 의결한 직후 윤 전 대통령이 신속히 계엄 해제 명령에 나서지 않은 정황 역시 진상조사의 중요한 쟁점으로 떠올랐다. 신 전 실장은 정진석 전 대통령비서실장과 함께, 윤 전 대통령이 합동참모본부 지하 결심지원실로 이동하자 다시 집무실로 데려오는 역할을 했다고 밝혔다.
특검팀은 지난달 7일과 10일에 이어 이번 세 번째 소환을 통해, 당시 비상계엄 논의 및 집행 과정, 실무진 사이 의견 불일치, 윤 전 대통령의 구체적 지시 정황 등 사실관계를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조사 결과에 따라 핵심 결정권자들의 책임 소재와 위법성 여부가 다시 도마에 오를 전망이다.
정치권은 신원식·조태용 전직 관계자들의 증언 엇갈림을 두고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여야는 특검 수사 결과와 향후 추가 소환자 명단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날 특검팀은 “신 전 실장 소환을 계기로 당시 계엄 논의의 전모와 직·간접 발언의 진위를 면밀히 확인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국은 추가 소환과 법리 다툼 가능성을 안은 채, 향후 특검 재조사가 본격화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