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한미 원자력 파트너십 더 깊게”…김진아 외교차관, 댄리 美 에너지부 부장관과 협력 강화 논의
정치

“한미 원자력 파트너십 더 깊게”…김진아 외교차관, 댄리 美 에너지부 부장관과 협력 강화 논의

최영민 기자
입력

원자력 협력 강화를 둘러싼 한미 양국의 전략적 움직임이 가시화됐다. 김진아 외교부 2차관과 제임스 댄리 미국 에너지부 부장관이 27일 부산에서 만나 양자 회의를 개최하며, 관련 논의를 심화할 뜻을 밝힌 것이다. 정상회담 이후 양국 간 기술동맹에 새로운 모멘텀이 형성되는 모양새다.

 

외교부에 따르면 양측은 최근 한미 정상회담에서 제기된 원자력 협력 방안을 중심으로 “한미 원자력 파트너십이 다양한 분야에서 심화될 수 있도록 긴밀히 소통하자”고 뜻을 모았다. 김진아 차관은 “원자력 분야에서 양국 간 협력을 심화해 한미동맹 강화에 기여하자”고 강조했다. 이에 제임스 댄리 부장관은 “한미 간 원자력 협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

특히 이날 회의에서는 최근 양국 원전 기업 간의 협력이 소형모듈원자로(SMR) 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 부각됐다. 정상 방미 일정 계기로 양국 기업이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데 대해 쌍방은 긍정적 평가를 내렸다. 양측은 “민간 부문 협력이 더욱 탄력 받도록 정부 차원에서도 실질적 지원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정치권에서는 한미 원자력 공조가 에너지 안보와 기술 패권 경쟁의 중대한 분기점이 될 것이라는 해석이 제기됐다. 한편에서는 미·중 갈등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한미동맹 중심 ‘원자력 파트너십’이 한반도 외교 질서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국과 미국 정부는 앞으로 원자력 산업계의 협력 확대를 뒷받침하기 위한 후속 조치를 모색할 예정이다. 에너지 외교 라인이 산업 현장과의 소통을 지속 강화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으면서, ‘차세대 원전 협력’의 성패가 귀추를 주목받고 있다.

최영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진아#제임스댄리#한미원자력파트너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