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진출국’ 300여명 애틀랜타 공항서 귀국”…조현 외교장관 “美 재입국 불이익 최소화 합의”
구금 사태 이후 미 이민당국과 정부 간 긴박한 협상이 전개됐다. 외교부와 대통령실이 나서 미국 조지아주에서 체포된 현대자동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HL-GA) 배터리 공장 현장 한국인 근로자들을 애틀랜타에서 전세기로 귀국시키는 방안이 성사됐다.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현지시간으로 10일 오후 2시 30분(한국시간 11일 오전 3시 30분) 미국 애틀랜타 공항에서는 자진출국 형식으로 석방된 한국인 300여명이 대규모로 귀국길에 오를 전망이다. 지난 4일 미국 이민당국이 조지아주 포크스톤 구금시설에 300여 명의 한국인을 포함해 총 475명을 체포한 지 엿새 만에 마련된 조치다. 전세기 탑승에는 공장 근로자 가운데 일부 외국 국적자도 포함될 수 있으나, 모든 구금 한국인이 한 번에 귀국하는지는 현지 확인이 남아 있다.

대한항공에서 운영하는 368석 대형 항공기는 10일 오전 인천국제공항에서 출발해 애틀랜타 공항으로 향한다. 구금자 도착까지의 428km 이동과 관련해, 미 이민관세단속국(ICE)이 직접 이송을 통제하고, 각 버스에는 ICE 관계자가 탑승하거나 차량이 인솔할 예정이다.
정부는 사태 발생 직후부터 재외국민 안전과 신속한 석방을 최우선 목표로 두고 현지 당국과 교섭에 나섰다.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7일 “구금 한국인 석방을 위한 교섭이 마무리됐다”고 전했다. 정부는 체류 신분이나 비자 종류와 관계없이 자진출국 방식으로 귀국이 이뤄질 수 있도록 미국 정부와 협의를 이어왔다는 입장이다.
조현 외교부 장관도 8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 "미국 재입국과 관련한 불이익을 최소화하는 데 미국 당국과 대강 합의했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모든 절차에 있어 차질이 없도록 현장을 면밀히 챙기고 있다”며 현장 대응 의지를 강조했다.
정치권에서는 현지에서 발생한 대규모 단속이 국내외 재외국민 보호체계 강화 이슈로 번지고 있다. 한편 해외 사업장 근로자 안전 문제와 국내 노동시장 관리의 숙제가 다시 제기됐다는 반응도 나왔다.
향후 정부는 구금된 전원이 무사히 귀국하는지 추적 점검에 나선다. 외교부는 “향후 유사 상황에도 신속한 보호와 지원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