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첩사-해경, 계엄 전 교류 정황”…정성우 전 1처장 내란특검 소환
12·3 비상계엄 내란·외환 의혹을 둘러싼 수사가 분수령을 맞고 있다.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팀이 27일 오후 정성우 전 국군방첩사령부 1처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하며, 방첩사 개입 의혹에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특검팀은 이날 서울의 한 사무실에서 정 전 처장을 상대로 지난해 10월부터 11월 사이 드론작전사령부가 주도한 ‘평양 무인기 침투’ 작전에 방첩사가 관여했는지 여부를 집중 추궁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방첩사 내부에서는 “계엄 직후 정성우 전 처장이 ‘검찰 선관위 출동’을 언급했다”는 관계자 진술을 확보했으며, 이 발언의 사실관계와 배경도 상세히 조사했다.

특검팀은 방첩사와 해양경찰청 측의 내밀한 사전 교류 정황에도 주목하고 있다. 실제로 방첩사와 안성식 전 해양경찰청 기획조정관은 계엄 선포 전부터 긴밀히 접촉하며, 계엄 상황에 합동수사부 구성 시 해경 인력 파견까지 모의한 것으로 파악됐다.
정치권에서는 방첩사 교류만이 아니라 인사 네트워크도 주목받고 있다.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이 지난해 초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과 함께 안성식 전 조정관을 만났다는 의혹이 제기되며, 이들 모두 윤석열 전 대통령의 모교인 충암고 출신이라는 점에서 동문 인맥이 내란·외환 의혹과 얽혀 있다는 시각이 확산 중이다.
한편, 비상계엄과 관련된 군·경찰 고위직들의 사전 교감 사실이 드러날 경우, 정국에 미칠 파장이 적지 않을 전망이다. 특검팀은 확보한 진술과 증거 자료를 토대로 방첩사의 실제 역할과 인맥 교류 구조까지 규명한다는 방침이다.
정치권 일각에선 “공조 모의가 사실로 확인된다면 내란 의혹 수사는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특검은 추가 소환조사 및 참고인 조사를 이어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