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옛 부평미군기지, 공원화 사업 본격 추진 신호탄"…인천시, 행안부 타당성 조사 선정
정치

"옛 부평미군기지, 공원화 사업 본격 추진 신호탄"…인천시, 행안부 타당성 조사 선정

전민준 기자
입력

정치적 논쟁의 중심에 섰던 옛 부평미군기지(캠프마켓) 공원화 사업이 중요한 전기를 맞았다. 인천시는 27일 캠프마켓 부지에 추진 중인 ‘신촌문화공원’ 조성계획이 행정안전부 타당성 조사 대상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그간 개발과 보존, 토양오염 문제로 갈등이 이어졌던 현안이 본격 행정 절차에 들어가며 정치권과 지역사회에 적잖은 파장을 낳을 전망이다.

 

인천시가 시민토론회 등 의견수렴 절차를 거쳐 마련한 신촌문화공원 마스터플랜은 약 44만 제곱미터 부지에 총 3천억 원을 투입하는 대형 프로젝트다. 지방재정법상 총사업비 500억 원이 넘는 개발사업에는 행정안전부의 타당성 조사가 필수적이다. 타당성 조사는 다음 달 업무 약정 체결 후 7개월 동안 진행될 예정이며, 이 절차를 마치면 내년 중앙투자심사를 통과해 단계별 공원 조성이 순차적으로 추진된다.

캠프마켓은 일제강점기였던 1939년 일본군 무기공장 ‘조병창’이 들어선 뒤, 1945년 해방 이후에는 주한미군이 84년 동안 주둔하며 민간인의 접근이 차단돼 왔다. 한미 양국 합의로 2019년 12월 A·B구역 21만 제곱미터가, 이어 2023년 12월 D구역 23만 제곱미터가 우리 국방부로 반환되면서, 80년 넘는 기간 지켜온 철문이 단계적으로 열렸다.

 

정치권과 인천시는 잔여 행정 과제로 캠프마켓 D구역 토양오염 정화, 인근 부영공원 부지 사용 협의 등을 꼽고 있다. 인천시는 이번 타당성 조사 선정이 장기 표류해 온 공원화 사업의 신속한 추진을 가능케 할 원동력이 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시민단체들은 환경정화와 시민 접근성 강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오랜 기간 금단의 땅이었던 캠프마켓 부지가 문화·역사 공간으로 복원돼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행정안전부 및 중앙정부의 향후 의견 조율과 예산 확보 절차에 지역 여론의 이목이 쏠린다.

 

향후 인천시는 내년 중앙투자심사를 시작으로 단계별 신촌문화공원 조성계획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정치권은 공원화 추진 과정에서 토양오염 정화, 지역사회 의견 반영 등 추가 변수를 두고 치열한 공방을 이어갈 전망이다.

전민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인천시#캠프마켓#신촌문화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