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하듯이 송금한다"…카카오뱅크, 생성형 AI 기반 대화형 이체 서비스 도입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대화형 송금 서비스가 상용화되면서 모바일 뱅킹 이용 방식에 변화가 예고되고 있다. 일상 언어로 이체를 지시하는 수준까지 기능이 고도화되며 금융 소비자의 편의는 커지는 반면, 금융권의 AI 도입 경쟁도 한층 치열해질 전망이다.
카카오뱅크는 24일 고객의 자연어 요청을 바탕으로 이체를 처리하는 생성형 AI 기반 대화형 송금 서비스 AI 이체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국내 금융권에서 예금·대출과 함께 핵심 서비스로 꼽히는 이체 업무에 생성형 AI를 직접 적용한 첫 사례라는 설명이다.

AI 이체는 기존에 은행명, 계좌번호, 이체 금액 등을 단계별로 입력하던 절차를 한 문장의 자연어로 대체한 것이 특징이다. 이용자는 엄마에게 만 원 보내줘처럼 말하거나 입력하면 AI가 문장을 분석해 수취인, 금액, 이체 의도를 인식하고 송금 절차를 진행한다.
자주 송금하는 상대에게는 이름이나 저장한 별명만으로도 이체가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다만 송금 전 단계에서는 수취인 정보 확인과 인증 과정을 반드시 거치며, 고객의 요청이 모호한 경우 AI가 재질문을 통해 은행명, 금액 등 필요한 정보를 추가로 확인한다.
이체 한도는 1회 기준 200만 원, 1일 기준 200만 원으로 설정됐다. 고객은 카카오뱅크 애플리케이션 내 AI이체 메뉴를 통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애플 인텔리전스 기반 음성 명령으로도 호출이 가능하다.
카카오뱅크는 지난 5월 도입한 AI 검색에 이어 대화형 AI 서비스를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회사에 따르면 현재까지 약 170만 명의 고객이 AI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것으로 집계됐다. 카카오뱅크는 오는 12월 회비 정리 기능을 자동화한 AI 모임총무 출시도 예고하며 모임통장 등 생활 밀착 금융 기능으로 AI 적용 범위를 넓혀갈 계획이다.
디지털 금융 업계에서는 이번 서비스가 비대면 채널에서의 사용자 경험을 재편하고, 다른 금융사들의 유사 서비스 도입을 자극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동시에 AI가 금융 거래의 전면에 나서는 만큼 보안과 소비자 보호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제기된다.
카카오뱅크는 다양한 금융 상품과 서비스에 AI 기술을 연계해 고객 편의성을 높이는 전략을 이어가겠다는 방침이다. 향후 금융권 AI 경쟁 구도와 이용자 수용 속도에 따라 서비스 확산 속도가 결정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