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UAE와 방산 공동개발 성과 크다"…이재명 대통령, 중동·아프리카 순방서 경제외교 드라이브

정하린 기자
입력

방위산업 협력과 인프라 수주를 둘러싼 경쟁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전면에 섰다. 중동과 아프리카 순방에 나선 이 대통령이 아랍에미리트와의 방위산업 공조에서 실질적 성과가 있었다고 거듭 강조하면서, 향후 수조원대 경제협력 논의가 본궤도에 오를 전망이다.  

 

이 대통령은 24일 현지시간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를 떠나 튀르키예 앙카라로 이동하는 전용기 안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UAE를 순방국 가운데 가장 구체적인 성과가 나타난 국가로 꼽았다. 그는 사전에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이 특사 자격으로 UAE를 방문해 협업 가능 분야를 조율한 과정을 언급하면서 “UAE가 가장 구체적인 성과가 있는 것 같다”며 “사전에 비서실장이 특사로 가서 협업할 수 있는 분야를 정리하고 구체적 사업도 발굴해 아주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큰 성과가 난 것 같다”고 말했다.  

이보다 앞서 이 대통령은 지난 18일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아랍에미리트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무기 구매·수출을 넘어선 무기체계 공동 개발과 공동 생산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그 연장선에서 이 대통령은 조만간 구체적인 결과가 도출될 것이라고 전망하며 “수출 성과를 내야 한다. 실제 결과도 조만간 나오게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앞선 브리핑에서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기대되는 UAE와의 방산 협력 규모가 150억달러 이상으로 추산된다고 설명한 바 있다. 이에 따라 한화, 현대로템 등 국내 방산 기업을 비롯한 관련 산업 전반에 상당한 파급효과가 뒤따를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두 번째 순방지인 이집트에서는 사회간접자본 사업 논의가 전면에 올랐다. 이 대통령은 압델 파타 알시시 이집트 대통령과의 회동 내용을 전하며 “카이로 공항을 확장할 계획인데 비용이 3조∼4조원 정도 들지 않겠느냐는 얘기를 하시면서 그것을 한국 기업이 맡아서 확장하고 운영해주면 좋겠다고 했다”고 소개했다. 이어 “우리 기업과 국민에게 큰 기회를 만들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고 덧붙여, 공항 개발과 운영에 대한 장기 파트너십 구상이 논의됐음을 시사했다.  

 

주요 20개국 정상회의 참석 차 찾은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는 조선 분야 다자 협력이 새 의제로 떠올랐다. 이 대통령은 현지에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를 만나 한일과 인도가 함께하는 조선 분야 협력체 구축 제안을 전달받았다고 전했다. 그는 “그 부분에 대해 판단할 여지가 남아서 제안은 잘 들었고 추후 논의하자고 했다”고 설명했다. 조선 기술과 물량 확보를 둘러싸고 동북아와 인도 간 전략적 연대 가능성이 열려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마지막 순방지인 튀르키예에서는 방위산업과 원자력 발전이 주된 의제가 될 전망이다. 이 대통령은 한국전력이 튀르키예 원전 사업 입찰에 참여한 사실을 언급하며 “정상 간 대화를 통해 대한민국 원전 사업의 우수성과 경쟁력을 잘 설명하고 좋은 결과가 나오도록 노력해보겠다”고 말했다. 한국형 원전 수출 확대를 위한 정상급 세일즈 외교에 힘을 싣겠다는 구상이다.  

 

이 대통령은 이번 순방과 여러 다자외교 무대에서 만난 외국 정상들이 한국 방위산업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고 전했다. 그는 “특히 공동 개발·생산·판매와 시장 개척에 관심이 많다”고 언급하며, 개별 장비 수출을 넘어 공동 투자와 기술 협력을 동반하는 구조가 확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또한 글로벌 안보 환경 변화를 거론하며 방산 수요의 구조적 확대를 예상했다. 이 대통령은 “각국의 방위산업 수요가 예상 이상으로 빠르게 커지고 있다”며 “누구도 믿을 수 없는 상태가 점점 도래하고 있어서 방산 시장 규모가 계속 커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라면 한 개를 파는 것과 달리, 공동 생산이나 기술개발을 하면 상대국과 군사·안보 협력을 하지 않을 수가 없다”며 “방산 협력은 외교 관계 확대에도 현실적으로 매우 유효한 수단”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UAE와의 방산 공동개발 협의, 이집트 공항 확장 사업 참여, 인도의 조선 협력체 구상, 튀르키예 원전 수주전 지원 등을 놓고 후속 실무 협상을 이어갈 계획이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향후 국회가 관련 예산과 제도 정비 논의에 착수하면, 방산·에너지·인프라를 묶은 대규모 경제외교 전략이 본격 가동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정하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대통령#uae#방위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