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北 태도 냉랭하지만 대화 멈추지 않겠다”…이재명 대통령, 한반도 평화 강조
정치

“北 태도 냉랭하지만 대화 멈추지 않겠다”…이재명 대통령, 한반도 평화 강조

조현우 기자
입력

남북관계를 둘러싼 긴장이 지속되는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이 한반도 평화와 남북 대화 의지를 거듭 강조했다. 2025년 9월 11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취임 100일을 맞아 열린 기자회견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북한의 태도가 냉랭하다. 그게 우리의 현실”이라며 “특별한 진척은 없지만 끊임없이 노력을 한다”고 밝혔다. 북한의 소극적인 태도에도 불구하고 대화의 끈을 놓지 않겠다는 강한 메시지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직접적 이해관계가 있는 당사자임에도 가장 냉담하고 적대적인 것이 슬픈 현실”이라고 말하면서, 남한 정부의 변화와 유화제스처가 당장 북한의 태도를 바꾸지 못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정부가 정권이 바뀌어 대북방송도 안 하고 몇 가지 유화조치를 한다고 해서 그들이 확 돌아서서 화난 표정에서 활짝 웃는 표정으로 바꿀 것이라고 기대했다면 바보”라고 했다. 그러나 “그런데도 그들이 어떤 태도를 취하든 긴장을 완화하는 게 우리에게 이득”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이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와 안전을 위해 지속적 대화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이재명이 종북이라서 그런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한반도 평화와 안전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남북관계의 해결을 남한 당국만의 몫으로만 볼 수 없다는 점도 지적했다. 그는 “북한은 체제 위협의 핵심이 남한이 아니라 미국이라고 보기 때문에, 미국과의 관계를 남북 관계보다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분석했다. 이어 “그들(북한) 입장에서 ‘전시작전권도 없는 나라가 무슨; 북미관계가 중요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 대통령은 북미대화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북미대화가 열리는 것이 한반도 평화와 안정에 도움이 된다. 우리가 주도하겠다고 고집할 필요가 없고, 그래서 ‘페이스메이커’ 역할을 얘기한 것”이라 말했다. 또한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라는 사람의 특성상, (그의 집권이) 한반도 평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평화적 외교의 지속이 작은 변화의 계기가 될 것이라는 점을 부각했다.

 

아울러 이 대통령은 “평화적 노력이 쌓이면 조금의 틈이 생길 것”이라며, “외교협상의 특성상 타결 직전 협상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최대한 긴장을 끌어올리는 면이 있다. 그런 단계를 거치는 것 같기도 하다”고 했다. 통일 담론에 대해서는 “지금 통일 얘기를 하면 ‘바보’ 소리를 듣겠지만, 그 전에 평화단계를 구축하는 게 중요하다. 그래서 끊임없이 대화를 타진하는 것”이라고 재차 밝혔다.

 

정치권은 이재명 대통령의 한반도 평화 전략과 외교 노력을 두고 다양한 분석을 내놓고 있다. 대통령실은 한미, 남북의 복합적 구도에서 현실적·장기적 안목이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향후 정부는 북한의 반응에 관계없이 남북대화와 북미관계 진전에 주목하며, 외교적 해법을 적극 모색할 방침이다.

조현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대통령#북한#한반도평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