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민통합은 구호 아닌 현실 과제"…국민통합위, 정치갈등 해법 모색 나섰다

윤지안 기자
입력

정치·이념 갈등이 격화된 한국 사회에서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가 갈등 해소 방안을 놓고 학계·연구기관과 머리를 맞댔다. 알고리즘 기반 가짜 정보 확산과 지역·이념 분열을 함께 다루며 헌법 가치에 기반한 통합 전략 찾기에 나선 것이다.  

 

국민통합위원회는 26일 서울 중구 코리아나호텔에서 한국행정연구원, 한국정치학회와 함께 2025 국민통합 콘퍼런스를 열고 뉴미디어 시대 정치·이념 갈등의 실태와 해법을 논의했다. 콘퍼런스는 이념 갈등을 넘어 통합의 길로를 주제로 진행됐다.  

발제에 나선 장우영 대구가톨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디지털 플랫폼과 알고리즘이 갈등을 증폭시키는 구조에 주목했다. 장우영 교수는 알고리즘에 의한 거짓 정보 노출 통제 강화, 팩트체크 시스템 구축, 정책 중심형 유튜브 채널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허위 정보의 확산 구조를 제어하고, 사실 검증과 정책 정보 중심의 공론장을 키우는 것이 정치적 양극화를 완화하는 핵심이라고 제시했다.  

 

박준 한국행정연구원 공직역량연구실장은 숙의 민주주의와 지역 통합을 결합한 방안을 내놨다. 박준 실장은 인공지능 기반 민주적 숙의 프로젝트, 영·호남 접경지역 주민통합 프로젝트를 제안했다. 그는 AI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의견을 체계적으로 수렴하고, 역사적 갈등이 누적된 지역에서 생활밀착형 교류와 협력을 늘려야 지속 가능한 통합을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국민통합위원회의 역할을 둘러싼 주문도 이어졌다. 참석자들은 국민통합위가 중립적인 관점에서 사회갈등 요인을 분석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적극적 균형 조정자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파 이해와 거리를 둔 독립적 분석과 조정 기능을 통해 갈등 당사자 간 신뢰를 확보하는 것이 관건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이석연 국민통합위원장은 국민통합의 시급성을 거듭 부각했다. 그는 국민통합은 구호가 아니라 긴박한 현실의 문제라며 헌법적 기본 가치를 나침반으로 삼아, 국민의 행복을 지키고 서로 존중할 수 있는 해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치적 대립 구도를 넘어 헌법에 규정된 자유와 평등, 인간의 존엄 가치에 기초한 통합 전략을 세워야 한다는 메시지로 풀이된다.  

 

정치권에서도 온라인 정치콘텐츠 규율, 지역 갈등 완화, 숙의 민주주의 제도화 논쟁이 이어지고 있는 만큼, 이날 제안된 정책 방향이 국회 논의에 어떤 형태로 반영될지 주목된다. 국민통합위원회는 관련 연구와 공론화 작업을 이어가며 향후 정부 정책과 입법 논의에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할 계획이다.

윤지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국민통합위원회#이석연#2025국민통합콘퍼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