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AI와 우편서비스 융합”…과기정통부, 공공플랫폼 선행 강화 주목

정하준 기자
입력

우체국 기반의 응급 구조, 금융 사기 예방 등 공공서비스가 AI 및 IT 플랫폼을 통해 고도화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최근 3개월간 실제 현장에서 국민 생명과 재산 보호에 혁신을 실천한 우체국 직원들을 격려하며, 우정사업의 사회적 책임과 디지털 전환의 방향성을 강조했다. 업계는 이번 만남을 ‘공공 IT플랫폼의 사회 안전망 강화’ 경쟁의 전환점으로 보고 있다.

 

이번에 격려를 받은 한 집배원은 복지우편 배달 중 의식을 잃은 장애인을 신속 신고·구조하면서, 현장 데이터 분석이나 연결 기술의 힘이 더욱 절실해지는 현실을 보여줬다. 또 ‘안부살핌 우편 서비스’는 실시간 거주 확인 및 돌봄 연계, 스마트 출입기록 관리 등 IT 융합 기반으로 진화가 논의되고 있다.

우체국은 보이스피싱 등 금융 사기 정황 포착 시 AI기반 위험 패턴 분석, 자동 경보 발송 등 디지털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있는 중이다. 최근 고액 이체나 의심 거래를 실시간으로 감지해 즉각 경찰과 연계한 사례가 다수 보고됐다. 특히, 기존 단순 관리 중심에서 IoT·머신러닝 기술과 현장 감시 데이터를 결합하는 방식이 주목받는다.

 

이러한 현장 혁신의 시장적 의미는 실질 보호 대상자인 고령층, 장애인 등 사회 취약계층의 생명·재산 보장이라는 데 있다. 정보 취약 계층도 IT와 AI를 접목해 실시간 위험감지, 맞춤형 공공서비스 제공에 더욱 접근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글로벌 우정사업관리 선진국들 역시 인공지능, 데이터 통합 플랫폼을 접목해 범죄 예방, 사회 돌봄, 실시간 재난 대응을 강화하는 흐름이다. 유럽 주요국은 ‘우편+디지털 복지’ 모델 도입 속도를 높이고 있어, 국내 대응도 지속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공공 IT플랫폼의 안전·적시성 확보를 위해 도입되는 모든 솔루션은 개인정보 보호 강화, 데이터 주권, 재난·금융·복지 현장 인증 등 각종 제도적 장벽을 고려해야 한다. ‘안전한 IT 활용’과 ‘서비스 전달의 신속·정확성’이라는 두 축의 균형도 꾸준히 요구된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모든 공공서비스는 국민 체감도가 관건이기 때문에 AI 등 첨단기술을 접목할 때 윤리·법제 등 제도와 조화가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산업계는 이러한 기술이 실질적으로 전국 현장까지 확산될지 주목하고 있다.

정하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과기정통부#우체국#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