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공백 확대 우려”…경상북도, 보건진료소 시범모델 추진하며 간호사 확충
공중보건의 감축 여파로 지역 의료 공백이 심화되는 가운데, 경상북도가 의료 인력 부족에 맞서 자체 강화 전략을 내놓으며 논란이 재점화됐다. 경북도는 2025년부터 일부 보건지소를 ‘기능 강화 보건진료소’로 전환하고 간호사 수를 늘리는 시범모델을 선보이겠다고 20일 밝혔다.
경상북도 측에 따르면, 도내 보건소·보건지소에서 근무하는 공중보건의는 2022년 518명에서 올해 370명으로 29퍼센트 감소했다. 올해 전체 213개 보건지소 중 공중보건의가 배치된 곳은 84개에 불과해, 나머지 지소는 의료 인력 부족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경상북도는 공중보건의가 없는 보건지소 가운데 일부를 보건진료소로 전환, 간호사를 1명에서 2명까지 추가 배치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내년부터는 시범적으로 4~5곳에 보건 진료 전담 공무원을 우선 증원해, 원격협진 사업과 취약계층을 위한 의약품 구비 등 1차 의료기관의 기능 강화에 나선다.
또 건강증진사업과 통합 돌봄 같은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해 시군 실정에 맞춘 지원도 이뤄진다. 경상북도는 “원격의료, 건강관리, 복지 연계 등 새로운 보건서비스 모델로 의료 인력 공백을 보완하겠다”고 강조했다.
정치권에선 의료체계 취약지역 지원의 시급성에 공감하면서도, 임시방편에 그치지 않고 의사 중장기 배치 방안도 병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따른다. 의료 전문가들은 “간호사의 업무 확장은 주민 건강권 확보의 최소 조건일 뿐”이라며 “전담의 확보와 시스템 점검도 과제로 남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경상북도는 기존 공보의 배치 시스템과 함께 새로운 인력 투입 및 원격 협진 확대 성과를 지속적으로 점검, 평가할 계획이다. 내년 시범사업의 성과에 따라 다른 시군 확대 여부도 검토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