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글로벌 게임 전시 도전”…넥슨, 퍼스트 디센던트 도쿄게임쇼 출격
IT/바이오

“글로벌 게임 전시 도전”…넥슨, 퍼스트 디센던트 도쿄게임쇼 출격

김다영 기자
입력

넥슨이 루트슈터 게임 ‘퍼스트 디센던트’를 앞세워 글로벌 게임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자회사 넥슨게임즈가 개발한 이 게임은 ‘도쿄게임쇼 2025’의 전시 부스를 통해 본격적으로 일본과 글로벌 이용자와의 접점을 확대하는 전략을 구체화한다. 업계에서는 이번 행사 참여가 한일 게임 IP 경쟁의 새로운 분기점으로 주목받고 있다.

 

넥슨은 9월 25일부터 28일까지 일본 치바에서 개최되는 도쿄게임쇼 2025에 대규모 전시 부스를 마련한다. ‘퍼스트 디센던트’ 전용 부스는 공간을 자유롭게 꾸밀 수 있는 ‘라운지’와 탈 것 콘텐츠인 ‘호버 바이크’ 등, 게임의 핵심 요소를 전면에 내세운다. 관람객들은 실제 게임 세계관을 체험할 수 있는 몰입형 전시 구성과 더불어, 올해 처음 시도하는 IP(지식재산권) 컬래버레이션도 현장에서 직접 만날 수 있다. 이와 함께 게임 플레이와 캐릭터 코스튬 플레이 등 다채로운 참여형 이벤트가 준비되며, 9월 27일에는 개발진이 직접 참여하는 부스 라이브 방송을 통해 신규 정보를 소개한다.

‘퍼스트 디센던트’는 루트슈터(강화·수집형 슈팅) 장르로, 트리플A급 콘솔·PC 게임 개발력 및 라이브 서비스 역량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협동 액션과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확장이 강점으로 평가된다. 엔진 최적화와 캐릭터 커스터마이징, 실시간 콘텐츠 연동 기술 등을 적용해 기존 수집형 슈팅 게임의 한계를 극복하면서도, 이용자 네트워크 중심의 실시간 경험을 강조한 점이 눈길을 끈다. 특히 이번 전시회 참가를 기점으로 신규 IP 협업 및 대규모 업데이트 계획이 공개될 예정이어서, 글로벌 게임 시장에서의 존재감 확장에 청신호로 작용하고 있다.

 

글로벌 게임쇼는 단순 기술 전시를 넘어 게임 IP의 현지 적합성, 라이브 서비스 노하우, 커뮤니티 형성 역량을 겨루는 장으로 기능한다. 일본 내에서는 캡콤, 스퀘어에닉스 등 현지 강자들과의 경쟁이 불가피하며, 미국이나 유럽 주요 게임사들도 도쿄게임쇼를 전략적 거점으로 삼고 있다. 넥슨의 이번 단독 부스 운영은 한국 게임사의 기술력뿐 아니라, 글로벌 시장 맞춤형 콘텐츠 전략 구현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

 

넥슨의 IP형 컬래버 마케팅은 게임 내외부의 확장성과 라이선스 비즈니스로 이어질 공산이 있다. 특히 일본은 콘솔·PC 기반의 깊이 있는 서사와 캐릭터 비즈니스가 강점을 이루고 있어, 넥슨의 ‘퍼스트 디센던트’가 현지 플레이어의 취향에 어떻게 소구할지 관심이 쏠린다.

 

게임 전시회 참여는 기술력과 콘텐츠를 공식적으로 검증받는 무대로 평가된다. 국내에서는 게임산업진흥법, 청소년보호법 등 전시 콘텐츠에 관한 규제가 있으나, 일본에서는 ‘셧다운제’ 등 규제 환경이 덜한 편이어서 라이브 서비스 실험이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업계와 전문가들은 이번 도쿄게임쇼 출품이 넥슨의 글로벌 IP 사업 확장과 새로운 BM(비즈니스 모델) 구축의 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기술과 콘텐츠 전략이 실제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

김다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넥슨#퍼스트디센던트#도쿄게임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