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인지 메이커 되겠다”…박홍근, 여권 첫 서울시장 출마 선언
정권 교체 이후 첫 지방선거를 앞두고 더불어민주당 내부 경쟁이 요동치는 가운데, 서울시장 자리를 둘러싼 물밑 싸움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특히 야권의 최대 격전지로 꼽히는 서울을 두고 여권 핵심 인사들이 잇따라 이름을 올리며 정국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박홍근 의원은 26일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내년 6·3 지방선거 서울시장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 민주당 소속 인사 가운데 내년 서울시장 도전을 직접 밝힌 것은 박 의원이 처음이다.

박홍근 의원은 “새로운 서울을 위한 체인지 메이커가 되겠다”고 밝히며 자신을 이재명 정부의 국정 설계 라인으로 내세웠다. 그는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국정기획위원회 국정기획분과위원장을 맡았던 점을 상기시키며 “이재명 정부의 설계자이자 이재명 대통령의 동반자인 제가 수도 서울의 위대한 미래를 설계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그는 중앙 정치 상황과 내년 지방선거를 직접 연결 지으며 선거 성격을 규정했다. 박 의원은 “내란·계엄 발생 1년이 지나도록 윤석열을 비롯한 내란 주도자들에 대한 법적 단죄는 더디기만 하다”며 “내년 지방선거는 이재명 정부가 국민 속에 든든히 뿌리내리게 하는 결정적 분수령이고 그 중심엔 서울시장 선거가 있다”고 주장했다.
현직인 국민의힘 소속 오세훈 서울시장을 향한 공세도 강하게 펼쳤다. 박 의원은 “지금 서울시민은 불안정, 불평등, 불균형이라는 3불에 둘러싸여 있다”고 진단하며, 오세훈 시장의 대표 사업들을 하나씩 겨냥했다. 그는 한강 버스 사업과 종묘 인근 재개발 계획 등을 언급하며 “전시행정의 끝판왕”이라고 비판했다. 서울시정이 실질적 삶의 개선보다 보여주기식 사업에 치우쳤다는 취지다.
출마 선언과 함께 내놓은 서울시 공약은 복지와 교통, 조세 구조 조정 등 생활 밀착 의제에 집중됐다. 박 의원은 서민 주택, 이른바 어포더블 하우징의 신속한 공급 확대를 최우선 과제로 제시했다. 또한 돌봄 대상자 중심의 통합돌봄서비스 구축, 마을버스 요금 무료화, 도시철도 노인 무임승차 제도 합리적 개선, 강남·비강남권 교통격차 축소, 재산세 공동과세 비율 상향 조정 등을 약속했다.
박 의원의 가세로 민주당의 서울시장 경선 구도도 한층 복잡해지고 있다. 당내에서는 이미 서영교 의원, 박주민 의원, 전현희 의원, 김영배 의원, 홍익표 전 의원, 박용진 전 의원, 정원오 성동구청장 등이 유력 후보군으로 거론돼 왔다. 이 가운데 박주민 의원과 서영교 의원 등은 직접 출마 의사를 밝힌 상태다.
또 다른 잠재 후보인 박용진 전 의원도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메시지를 냈다. 그는 페이스북 글에서 “민주당의 서울 필승카드로 자격을 갖추기 위해서 많은 것을 고민하고, 많은 분의 말씀을 듣고 있다”고 적어, 사실상 도전 의지를 재차 드러냈다.
당 일각에서는 본선 경쟁력을 이유로 외부 영입론과 중량감 있는 인사 차출론도 계속 제기되고 있다. 특히 김민석 국무총리를 겨냥한 차출 요구가 거론되지만, 김 총리는 자신의 출마설과 관련해 거듭 선을 긋고 있는 상황이다. 경선 구도가 어떻게 짜이느냐에 따라 민주당의 수도권 전략, 나아가 내년 지방선거 전체 전략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정치권에서는 내년 서울시장 선거가 이재명 정부 중간 평가 성격과 함께, 보수 진영과 진보 진영의 수도권 주도권 경쟁 무대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민주당은 서울 공천 방식을 둘러싼 내부 논의를 이어가면서, 본선 경쟁력과 당내 통합을 동시에 담보할 수 있는 후보를 선별하기 위한 경선 룰을 마련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