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한미 연합 해상침투훈련, 미 F-16 투입”…특전사, 안면도 일대 실전작전 가상
정치

“한미 연합 해상침투훈련, 미 F-16 투입”…특전사, 안면도 일대 실전작전 가상

강태호 기자
입력

한미 연합 특수작전 역량을 점검하는 해상침투훈련이 충남 태안 안면도 일대에서 실전적으로 진행됐다. 육군특수전사령부(특전사)는 2025년 8월 25일부터 27일까지 미7공군 및 연합사단 항공자산이 동원된 연합 해상침투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한미 양국의 전술교리 및 상호운용성 향상에 무게를 두면서 진행된 이번 훈련은 최근 북한의 다양한 도발 양상에 대응한 실전적 연합 작전 강화 흐름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훈련에는 특전사 귀성부대와 미7공군 604항공지원작전대대에서 약 40여 명이 참가했다. 여기에 미7공군 51전투비행단의 F-16 전투기 2대, 미2사단 및 한미연합사단 2전투항공여단의 UH-60 헬기 2대 등 다수 항공자산이 투입됐다. 훈련의 핵심은 사전에 침투한 특전사 합동화력관측관과 미군 합동 최종공격통제관(JTAC)이 적진에 대한 항공화력 유도를 시작점으로 삼는 방식이었다.

현장에서 미군 F-16 전투기가 첫 공격을 가하면서 접안지역 진입 여건을 조성했다. 이후 미군 UH-60 헬기에 분승한 특전대원들이 인근 해상으로 신속히 이동했고, 저고도에서 이탈한 인원이 고속 고무보트로 약 15km 거리를 은밀히 기동했다. 접안 이후 특수정찰을 통해 표적을 식별했으며, 이에 대한 항공유도 표적 정보를 실시간 전송했다. 곧 정보를 받은 F-16 전투기가 최종 목표물에 항공화력을 가해 제거에 성공했다. 작전 종료 후 특전대원들은 헬기로 안전하게 지역을 이탈하면서 훈련을 마무리했다.

 

한미 연합 특수작전의 최근 프로파일이 실제 전장 환경을 가정한 작전 중심으로 바뀌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군 안팎에서는 "연합 침투와 항공 자산 협동 대응능력의 실질 점검"이라는 평가가 뒤따랐다.

 

특전사 관계자는 "앞으로도 다양한 지역에서 실전적인 한미 연합훈련을 지속해 동맹의 상호 운용성 강화 및 특수작전태세 고도화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향후 군 당국은 동맹국과의 연합작전 역량을 정례적으로 점검하면서 안보 태세를 더욱 공고히 하겠다는 계획이다.

강태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특전사#한미연합훈련#f-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