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확대 찬성 40%…정책 기류 변화 뚜렷” 여론조사로 확인
정책 방향을 둘러싼 원자력발전 논쟁에서 ‘확대’와 ‘축소’ 입장이 극명하게 갈라졌다. 한국갤럽이 10월 14일부터 16일까지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국민 40%가 원자력발전 확대를 지지한 것으로 드러났다. 37%는 현재 수준 유지를, 11%는 축소를 각각 선택했다. 국내 원전 정책 기류가 지난 7년 사이 크게 변화했음을 보여준다.
이번 조사는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확대’ 응답은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꾸준히 높아졌으며, 2022년 6월 조사와 비교하면 더불어민주당 지지층과 진보층 내에서 ‘축소’ 의견이 줄고 ‘유지’ 의견이 늘어난 점이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2018년 6월엔 ‘축소’ 32%로 우세했으나, 2022년부터는 ‘확대’가 앞서기 시작했다. 전문가들은 글로벌 에너지 위기, 전력 수요 증가, 차세대 원전 기술 개발 등 복합적 요인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원전 안전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도 함께 변화했다. 갤럽 조사에서 ‘매우 안전하다’ 28%, ‘약간 안전하다’ 36% 등 64%가 안전하다고 답해, 후쿠시마 원전 사고 6년 뒤인 2017년 30%대에 불과하던 시기와 비교해 2배 수준으로 높아진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매우 위험하다’와 ‘약간 위험하다’는 22%로, 위험 인식은 소수에 머물렀다.
성별‧세대별 인식 차이도 뚜렷하게 드러났다. 남성의 75%, 20·30대의 70% 이상이 원전을 안전하다고 본 반면, 여성과 70대 이상에서는 각각 53%로 다소 낮았다. 원전 정책 입장에 따라서는 ‘확대론자’의 82%가, ‘유지론자’의 66%가 원전이 안전하다고 응답한 데 비해, ‘축소론자’ 57%는 위험성을 지적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여론조사 결과에 따라 에너지 정책 방향에 대한 논의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윤석열 정부가 추진해온 원자력발전 확대 정책에 힘이 실리는 동시에, 정책 균형을 둘러싼 거센 공방도 예상된다.
한편 이번 조사는 이동통신 3사 제공 무선전화 가상번호를 통한 전화조사원 인터뷰(CATI) 방식으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응답률은 12.1%를 기록했다.
정치권은 향후 에너지 정책 논의를 놓고 격렬한 논쟁을 이어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