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전남 의대 신설 더 미룰 수 없다"…서삼석, 의료 공백 해소 촉구

신도현 기자
입력

의료 불균형을 둘러싼 갈등은 다시 전남으로 향했다. 더불어민주당 지도부가 전남 지역 의료 공백 문제를 전면에 올리며 의과대학 신설을 요구하고 나섰다.

 

더불어민주당 서삼석 최고위원은 24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전남 통합 국립의대 신설을 더 이상 미뤄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그는 전남의 열악한 의료 여건을 구체적인 통계로 제시하며 정부의 신속한 결단을 촉구했다.

서 최고위원은 "전남은 전국에서 의료수요가 가장 높은 지역임에도 의료 인력과 중증 의료 기반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전남 22개 시군 가운데 17곳이 의료취약지로 분류돼 있고, 인구 1천명당 필수 의료 전문의는 0.29명에 그쳐 전국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라는 설명이다.

 

수도권과의 격차도 컸다. 서 최고위원은 "수도권은 1.86명, 서울은 3.02명으로 전남과 비교하면 10배 이상 격차가 난다"고 말했다. 중증 응급·외상 환자의 타지역 유출률은 51.2%로 전국 평균 19.9%의 두 배 이상이며, 상급종합병원 180분 내 접근율은 53.8%로 전국 평균보다 약 20%포인트 낮은 것으로 제시했다.

 

그는 공중보건의 감소, 예방 가능 외상 사망률, 모성 사망비 등 여러 지표가 전남의 의료 현실을 여실히 드러낸다고 강조했다. 서 최고위원은 "전남은 전국 17개 시도 중 유일하게 의과대학이 없는 지역"이라며 "30여 년 동안 이어진 도민의 요구는 단순한 대학 설립이 아니라 지역의료 공백을 메우기 위한 기본권 요구"라고 말했다.

 

서 최고위원은 구체적인 정부 조치도 요구했다. 그는 "2027년 전남에 의과대학 개교를 위해 보건복지부의 의대 정원 100명 이상 배정, 교육부의 유연한 통합 특례 적용, 정원 배정 및 예비평가 인증 등 필수 절차가 신속히 진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정치권에선 의대 정원 확대와 지역 의료 격차 해소 방안을 두고 여야 간 이견이 이어지고 있다. 다만 지방 대도시뿐 아니라 농어촌 지역까지 의료 공백이 확대되고 있다는 점에서, 전남 의대 신설 요구가 향후 의대 정원 논의의 주요 변수로 부상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국회는 향후 보건복지위원회와 교육위원회를 중심으로 지역 의료 인력 확충 방안과 의과대학 정원 배분 문제를 계속 논의할 전망이다.

신도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서삼석#더불어민주당#전남의대신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