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함도, 유네스코 공식 이슈화된다”…한국, 강제노역 세계유산 논의 재점화 전망
현지시각 기준 16일, 프랑스(France) 파리에서 열릴 유네스코(UNESCO) 세계유산위원회를 앞두고 한국 정부가 일본(Japan) ‘군함도’ 등 일제 강제노역 관련 유산 문제를 내년 정식 의제로 채택해줄 것을 공식 요청할 예정이다. 이번 조치는 동아시아 역사 인식 논란을 국제사회 무대로 다시 올리며 한일 외교 현안, 글로벌 문화재 정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허민 국가유산청장은 이날 열린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관련 질의를 받고 “11월 파리에서 개최되는 세계유산위원회에 직접 참석해 내년 회의 의제 채택을 공식 요구할 계획”임을 밝혔다. 군함도(하시마)는 일제강점기 조선인 등 아시아 수만 명이 강제 동원돼 노역한 현장임에도, 일본 정부가 2015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당시 “강제동원의 역사를 알릴 것”이라고 약속하고도 실제 전시관(2020년 도쿄 개관)에서 그 실상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아 국제 비판이 잇따르고 있다.

한국 정부는 올해 7월 열린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도 일본 측의 ‘메이지 유산’ 후속조치를 의제로 상정하려 표결까지 갔으나, 뜻을 이루지 못한 전례가 있다. 사도광산 등 또다른 강제노역 유산 역시 일본 측이 등재 신청 단계에서 역사의식을 제한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허 청장은 “당사국인 아시아 여러 국가와의 연합·협의체 구성 등 공동 대응을 강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에 남아 있는 강제동원 유물과 기록물에 대해서도 “유네스코 기록유산 등재를 검토, 항의 수단으로 활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대응 기류에 대해 일본 정부의 공식 반응은 아직 나오지 않았으나, 일제 산업유산 국제평가 및 한일 간 외교·문화재 갈등이 장기화될 전망이다. 경제계에서는 “삼성 등 일본 관련 산업유산 투자 및 평판, 해외 투자 흐름 변화 우려”와 더불어 “아시아 지역 증시 변동 가능성”에 대한 리스크 관리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뉴욕타임스(New York Times)와 NHK 등 해외 주요 매체들도 일본의 강제노역 역사 다루기 방식과 국제사회의 압박에 주목하며, “한일 외교·역사 논쟁이 유네스코 현장으로 번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내년 7월 부산(Busan) 세계유산위원회가 한일 및 아시아 각국 간 ‘역사·기억 외교’의 분수령이 될 수 있다”면서 “아시아 피해국들의 연대, 기록유산 등재 같은 다층적 국제 대응이 본격화될 가능성”을 전망했다. 국제사회는 유네스코의 실질적 조치와 일본의 후속 대응을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