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노동자 구금은 인권침해”…진보당, 주한미국대사대리에 공식 사과 요구
한국인 노동자 집단 구금을 둘러싼 외교적 충돌이 다시 불거졌다. 9일 주한미국대사관에서 열린 면담에서 진보당 의원들은 조지아주에서 벌어진 '한국인 무더기 구금' 사건과 관련해 주한 미국대사대리에게 공식 사과를 요구하며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
윤종오, 전종덕, 정혜경, 손솔 의원 등 진보당 소속 의원단은 이날 오후 주한미국대사관을 방문해 조셉 윤 주한 미국대사대리와 약 40분간 면담했다. 의원들은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방문객 노동자 단속 과정에서 발생한 한국 국적 노동자 집단 구금 사태와 관련해 항의서한을 직접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진보당 의원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 노동자들을 중범죄자 취급하며 쇠사슬로 채우고 구금한 것은 명백한 인권침해이자 대한민국 국민 전체에 대한 모욕"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단순한 이민 단속 차원을 넘어 한국 사회와 노동자에 대한 심각한 경시와 외교적 결례"라는 점도 강조했다.
또한 의원단은 "한국은 미국의 주요 투자국 중 하나로, 수많은 기업과 노동자들이 현지 고용 창출과 기여에 이바지했지만, 결과가 한국 노동자에 대한 범죄자 낙인과 비인간적 처우라면 이는 결코 용납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진보당은 미국 정부에 공식 사과와 재발 방지 대책 마련, 취업비자 제도 개선 등을 강력히 촉구했다. 아울러 "이 같은 조치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한국 기업들의 대미 투자는 근본적 재검토에 직면할 수밖에 없음을 분명히 경고한다"고 밝혔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한미 간 노동·투자 등 실질 협력의 기초가 흔들릴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주한미국대사관은 공식 입장 표명 없이 면담과 서한을 접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면담을 계기로 국회와 외교 당국이 한미 간 노동자 처우 문제 대응책을 마련할지 주목된다. 진보당은 관련 이슈의 국회 논의 확대를 예고하며, 향후 미국 정부의 추가적 대응을 지켜보겠다고 밝혔다.